이 글은 우아한테크코스 리뷰 페이지에 함께 게시된 글입니다.
xUnit Test Patterns의 저자인 제라드 메스자로스(Gerard Meszaros)가 만든 용어로 테스트를 진행하기 어려운 경우 이를 대신해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객체를 말한다.
영화 촬영 시 위험한 역할을 대신하는 스턴트 더블에서 비롯되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한 값을 연산하는 로직을 구현했다고 하자. 해당 로직을 테스트하기 위해선 항상 데이터베이스의 영향을 받을 것이고, 이는 데이터베이스의 상태에 따라 다른 결과를 유발할 수도 있다.
이렇게 테스트하려는 객체와 연관된 객체를 사용하기가 어렵고 모호할 때 대신해 줄 수 있는 객체를 테스트 더블이라 한다.
테스트 더블은 크게 Dummy, Fake, Stub, Spy, Mock으로 나눈다.
가장 기본적인 테스트 더블이다.
인스턴스화 된 객체가 필요하지만 기능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한다.
Dummy 객체의 메서드가 호출되었을 때 정상 동작은 보장하지 않는다.
객체는 전달되지만 사용되지 않는 객체이다.
정리하면 인스턴스화된 객체가 필요해서 구현한 가짜 객체일 뿐이고, 생성된 Dummy 객체는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지 않는다.
간단한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public interface PringWarning {
void print();
}
public class PrintWarningDummy implements PrintWarning {
@Override
public void print() {
//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는다.
}
}
실제 객체는 PrintWarning 인터페이스의 구현체를 필요하지만, 특정 테스트에서는 해당 구현체의 동작이 전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실제 객체가 로그용 경고만 출력한다면 테스트 환경에서는 전혀 필요 없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에는 print()
가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아도 테스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처럼 동작하지 않아도 테스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객체를 Dummy 객체라고 한다.
복잡한 로직이나 객체 내부에서 필요로 하는 다른 외부 객체들의 동작을 단순화하여 구현한 객체이다.
동작의 구현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 프로덕션에는 적합하지 않은 객체이다.
정리하면 동작은 하지만 실제 사용되는 객체처럼 정교하게 동작하지는 않는 객체를 말한다.
간단한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Entity
public class User {
@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rotected User() {}
public User(Long id, String name) {
this.id = id;
this.name = name;
}
public Long getId() {
return this.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this.name;
}
}
public interface UserRepository {
void save(User user);
User findById(long id);
}
public class FakeUserRepository implements UserRepository {
private Collection<User> users = new ArrayList<>();
@Override
public void save(User user) {
if (findById(user.getId()) == null) {
user.add(user);
}
}
@Override
public User findById(long id) {
for (User user : users) {
if (user.getId() == id) {
return user;
}
}
return null;
}
}
테스트해야 하는 객체가 데이터베이스와 연관되어 있다고 가정해보자.
그럴 경우 실제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해서 테스트해야 하지만, 실제 데이터베이스 대신 가짜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하는 FakeUserRepository를 만들어 테스트 객체에 주입하는 방법도 있다. 이렇게 하면 테스트 객체는 데이터베이스에 의존하지 않으면서도 동일하게 동작을 하는 가짜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게 된다.
이처럼 실제 객체와 동일한 역할을 하도록 만들어 사용하는 객체가 Fake 객체이다.
Dummy 객체가 실제로 동작하는 것 처럼 보이게 만들어 놓은 객체이다.
인터페이스 또는 기본 클래스가 최소한으로 구현된 상태이다.
테스트에서 호출된 요청에 대해 미리 준비해둔 결과를 제공한다.
정리하면 테스트를 위해 프로그래밍된 내용에 대해서만 준비된 결과를 제공하는 객체이다.
간단한 예시를 통해 살펴보자.
/* 앞에서 정의한 UserRepository를 사용 */
public class StubUserRepository implements UserRepository {
// ...
@Override
public User findById(long id) {
return new User(id, "Test User");
}
}
위의 코드처럼 StubUserRepository는 findById()
메서드를 사용하면 언제나 동일한 id값에 Test User라는 이름을 가진 User 인스턴스를 반환받는다.
테스트 환경에서 User 인스턴스의 name을 Test User만 받기를 원하는 경우 이처럼 동작하는 객체(UserRepository의 구현체)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방식의 단점은 테스트가 수정될 경우(findById()
메서드가 반환해야 할 값이 변경되야 할 경우) Stub 객체도 함께 수정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우리가 테스트에서 자주 사용하는 Mockito 프레임워크도 Stub와 같은 역할을 해준다.
이처럼 테스트를 위해 의도한 결과만 반환되도록 하기 위한 객체가 Stub 객체이다.
Stub의 역할을 가지면서 호출된 내용에 대해 약간의 정보를 기록한다.
테스트 더블로 구현된 객체에 자기 자신이 호출 되었을 때 확인이 필요한 부분을 기록하도록 구현한다.
실제 객체처럼 동작시킬 수도 있고,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Stub로 만들어서 동작을 지정할 수도 있다.
정리하면 실제 객체로도 사용할 수 있고 Stub 객체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특정 메서드가 제대로 호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간단한 예시를 통해 살펴보자.
public class MailingService {
private int sendMailCount = 0;
private Collection<Mail> mails = new ArrayList<>();
public void sendMail(Mail mail) {
sendMailCount++;
mails.add(mail);
}
public long getSendMailCount() {
return sendMailCount;
}
}
MailingService는 sendMail을 호출할 때마다 보낸 메일을 저장하고 몇 번 보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나중에 메일을 보낸 횟수를 물어볼 때 sendMailCount 변수에 저장된 값을 반환한다.
이처럼 자기 자신이 호출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객체가 Spy 객체이다.
이 또한 Mockito 프레임워크의 verify()
메서드가 같은 역할을 한다.
우테코에서 미션을 진행하면서 사용한 Mockito 프레임워크가 대표적인 Mock 프레임워크라 볼 수 있다.
SpringBoot에서의 Mockito 프레임워크의 사용 방법을 통해 Mock을 살펴보자.
/* 앞에서 정의한 UserRepository를 사용 */
@ExtendWith(MockitoExtension.class)
public class UserServiceTest {
@Mock
private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Test
void test() {
when(userRepository.findById(anyLong())).thenReturn(new User(1, "Test User"));
User actual = userService.findById(1);
assertThat(actual.getId()).isEqualTo(1);
assertThat(actual.getName()).isEqualTo("Test User");
}
}
위의 예제를 보면 UserService 인터페이스의 구현체가 findById()
메서드를 동작했을 때 어떤 결과를 반환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Mockito의 when 메서드에서 anyLong()이 아니라 정확한 값을 사용해서 특정 상황에 대한 테스트를 특정할 수 있다.
개발자에게 테스트 코드 작성이 꼭 갖추어야 할 소양이 되면서 많은 개발자는 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 등 다양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다. 그와 함께 테스트 코드를 더욱더 편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테스트 프레임워크도 사용하고 있다.
이전에는 테스트 코드를 위한 테스트 더블을 직접 만들어야 했다면, 지금은 테스트 프레임워크들이 이를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해준다.
그러나 이런 프레임워크들이 제공해주는 편리한 기능을 어떤 상황에, 무엇을 사용해야 하는지 모르고 사용한다면 제대로 된 테스트를 작성할 수 없다.
테스트 프레임워크가 제공해주는 테스트 더블로 어떤 것이 있고,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이 옳은지 학습하고 사용한다면, 더 효율적이고 올바른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수 있을 것이다.
[Effective Unit Testing] Chap 3. 테스트 더블 - 돼지왕왕돼지
단위 테스트 케이스와 테스트 더블 - Yoo Young-mo
fake와 stub가 헷갈렸네요 😰
fake -> 행위자체는 동일한 가짜객체
stub -> 행위를 정해놓은 가짜객체로 생각해보겠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