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1.5 Service models & Security & History

PADO·2020년 11월 5일
0

컴퓨터 네트워크

목록 보기
5/27
post-thumbnail

Pop Quiz

one hop delay에 포함되는 네 가지

  • input port에서 L bit store 한 다음 에러체크하고 routing, routing table lookup 하는 process, output port 로 switching ⇒ processing delay

  • output queue에서 대기하는 시간, congestion network일 때 영향을 받음 ⇒ queueing delay

    → Traffic Intensity = (초당 input queue로 들어오는 평균적인 비트 개수)/초당 output queue로 나가는 비트 개수(transmission rate) = La/R

  • 순차적으로 packet 단위로 transmit, cable의 bandwidth에 영향 ⇒ transmission delay

  • 첫번째 비트부터 전송, 한 bit가 1 hop을 travel ⇒ propagation delay

src:sender, dst:receiver

1 hop: link의 끝에서 끝, router의 input buffer로부터 다음 router의 input buffer까지 = link의 개수

src~des 사이의 end to end delay(e2e)? one hop delay

end to end delay
= hop의 개수 one hop delay
= hop의 개수
(Dproc + Dqueue + Dtrans + Dprop)

Pop Quiz

1) TI를 계산하면 queueing delay 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 False. TI는 평균값을 계산한 것이고, queue에 들어오는 패킷들이 bursty 하기 때문에 대략 유추만 할 수 있다.

2) Content Provider Network에는 그 content를 제공하는 회사의 traffic만 이동한다.

⇒ False. Google 같이 content도 가진 CDN(Content Distribution/Delivery Network)에는 회사의 traffic만 지나다니지만 Akamai 같은 Content Provider Network 회사는 content 회사가 아닌 third party임. Content 만드는 회사(Ex. Netflix, Hulu)에게 link와 서버, network를 팔음. 따라서 CPN에는 Netflix traffic만 지나다닐 수 없음


Packet loss

output queue에 data가 지나치게 몰릴 때 (transmission rate, R값 보다 지나치게 많은 rate의 bps가 들어오면) queue가 넘쳐 loss가 생긴다.

Throughput

초당 sender에서 receiver까지 보낼 수 있는 비트 수 (end 2 end 개념)

← hop에 연결된 link의 capacity( = R)값이 영향 (queueing delay는 상황에 따라 다르므로)

⇒ 제일 성능(link capacity)이 떨어지는 link가 throughput을 결정짓게 됨

= bottleneck link

(throughput에 문제가 있어 네트워크를 개선해야 한다면 bottleneck link를 찾아 throughput을 올려야 함)

Throughput: Internet scenario

e2e의 throughput은 어떻게 결정될까? bottleneck이 뭘까?

Rc, Rs, 10 users가 사용하는 link 중 논리적으로 가장 적은 bps값을 가진 link

스크린샷 2020-11-05 오후 3 36 02

⇒ bottleneck link는 정해져 있는 게 아니다.

가장 적은 bps값을 가진 link이거나 아주 높은 transmission rate를 가진 link의 다음 link가 bottleneck link가 될 수 있다.

⇒ 중간에 몰릴 수 있는 traffic을 잘 고려하여 R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bottleneck을 잘 찾아서 throughput을 증진시켜야 한다.)

Ex. bottleneck 찾기

스크린샷 2020-11-05 오후 3 36 18

R을 4 users가 사용하니 100Mbps씩 사용. 20, 100, 40bps니 bottleneck은 Rc.

Protocol layers, service models

Protocol "layers"

멀리 떨어진 src(end)부터 dst(end)까지 communication 하려고 msg를 주고 받기 위해 중간 과정에서 해야할 일이 많음

어디로 가야할 지 라우팅, 비트에서 시그널로, 산 넘고 물 건너 보내고, 시그널에서 다시 비트로, 오다가 깨졌는지 확인 해보고, 보낸 대로 받았는지 검사하고, 도착하면 맞는 application process한테 보내 줘야 하고 ... 수많은 기능

→ 일을 처리해야 하는 순서대로 해야할 일들을 층별로 구별해 놓음. 해당 layer에서 define된 goal을 수행, 층별로 독립적으로 수행 하기 위해 input output을 정의, 순서대로 처리한 후 도착하면 역순으로 처리

dst로의 길을 찾고자 도중 라우터를 거치기도 함.

Why layering?

시스템이 복잡해 해야 하는 일들을 계층 별로 분리, 모듈화 하여 독립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게 함.

reference model 각 layer에서 해야 하는 일들의 정의

cross-layer protocol: 두 계층의 기능을 커버

5-layer Internet protocol stack

  • application 계층 (msg) user가 사용하는 최상단 network application을 support하는 protocol. IETF에서 RFC문건으로 정의

    Ex. FTP, SMTP(email이라는, network를 필요로하는 application을 support), HTTP(web, file upload)

  • transport 계층 (segment) dst를 찾아 process to process data transfer(마치 같은 컴퓨터에 있는 것처럼 메시지를 주고 받음) 그러려면? dst에 가 있어야함. 그 역할을 하는 게 routing 하는 밑 계층.(그래서 아래 계층이 윗 계층의 service provider, 윗 계층은 아래 계층이 제공하는 service를 이용하는 user). IETF에서 RFC문건으로 정의

    Ex. TCP, UDP

  • network 계층 (packet, datagram) src로부터 dst까지 routing을 수행. IETF에서 RFC문건으로 정의

    Ex. IP, routing protocols(OSPF, RIP, BGP)

  • link 계층 (frame) link, 한 hop을 지나가는 일을 수행. IEEE에서 정의 NIC(Network Interface Card)에 있음. link layer의 두 sublayer 중 윗 계층까지 sw로 개발할 수 있음

    Ex. Ethernet, 802.11 (Wifi), PPP

  • physical 계층 물리적인 일 담당. IEEE에서 정의, NIC에 있음

⇒ 각 계층은 아래 계층의 서비스를 제공 받는 service user, 윗 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service provider

각 protocol이 처리하는 data의 기본 단위 (Protocol Data Unit: PDU)가 모두 달라 이름을 다르게 붙임.

Encapsulation

각 층에서 헤더를 붙여 데이터를 아래 계층으로 보냄. (SMTP인지 HTTP인지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헤더를 붙이겠지)

모든 PDU에는 헤더가 있다!

src의 layer에서 붙인 헤더는 dst의 해당 layer가 봐야 하는 것

  • source's application layer 헤더를 붙여 4계층으로 내려보냄
  • source's transport layer process2process 해야하니까 dst의 transport layer가 보라고 헤더를 붙여 내려보냄. port 주소 담김
  • source's network layer 라우팅할 때 보라고 dst address(IP) 등 붙여 내려보냄
  • source's link layer 1 hop을 이동 (switch는 3계층이 없으니 IP 주소도 없고 2계층의 MAC주소도 없음), 여기서 붙이는 header는 다음 switch의 link layer가 보라고 붙이는 것. 주로 MAC addr 담김
  • switch's link layer router로 가기 위한 MAC addr가 담김
  • router's link layer link layer에서 1 hop을 이동한 것
  • router's network layer 헤더를 떼고 올려줘야 src의 network layer에서 붙인 헤더를 보고 dst addr를 알 수 있음
  • router's link layer 다시 ****헤더에 다음(여기선 dst) 2계층 주소를 설정
  • destination's link layer 받음
  • destination's network layer 헤더의 dst addr를 보고 맞게 왔는지 확인할 수 있음
  • destination's transport layer 헤더의 port 번호를 보고 맞는 application에 msg 전달

한 hop(link)이 길면 중간에 switch가 있을 수 있음

패킷 네트워크에서 패킷이 1-hop을 지나간다고 하는 것은 하나의 네트워크를 지나간다는 의미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end host)와 라우터” 사이 혹은 “라우터와 라우터”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의미

⇒ 사용자와 라우터 사이에 존재하는 2계층 스위치는 같은 네트워크에 포함되므로 하나의 홉에 포함됨

⇒ 위 그림에서 source에서 router까지가 한 hop. source의 link 계층 헤더는 router의 link 계층에서 봄

link 계층과 network 계층의 차이

network 계층은 최종 목적지를 향한 다음 노드 (라우터 혹은 목적지 호스트)를 결정. → 3계층 헤더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는 destination host의 IP 주소

link 계층 헤더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는 **다음 노드 까지 가는 2계층 주소**

결과적으로 하나의 패킷이 한 홉을 지나갈 때 3계층 IP 목적지 주소는 변하지 않으나 2계층 목적지 주소는 계속 변함

⇒ 2계층에서 주로 MAC addr 사용, 3계층에서 주로 IP addr 사용

Network security

90년대 초반 불특정 다수가 Internet을 쓸 수 있게 되면서 보안 이슈가 등장 하게 함.

field of network security

네트워크로의 어떤 공격을 할 수 있는지 알고, 공격을 방어하고, 미리 대비할 수 있다.

put malware into hosts via Internet

virus 기생해서 실행, 사용자의 개입(실행)이 필요, 컴퓨터 내 공격

worm 독자적으로 실행, 사용자의 개입이 필요 없음, 네트워크 공격

Denial of Service (DoS)

쓸데없는 패킷 계속 보내서 처리하게 하기

스크린샷 2020-11-05 오후 3 37 59

packet "sniffing"

케이블이 붙어있기만 하면 share할 수 있는 Ethernet과 wireless 등에서 정보 빼서 보기

스크린샷 2020-11-05 오후 3 38 12

IP spoofing

B인척 하고 보내거나 내용을 바꾸기 (man-in-the-middle-attack)

스크린샷 2020-11-05 오후 3 38 47

Internet history

연도 안에서 일어난 큰 이슈들

60년대: Packet Switching. 인터넷의 어머니인 ARPAnet 등장

70년대: NCP (TCP 이전), 최초의 인터넷 서비스인 email(loss-sensitive), 위성 인터넷 ALOHAnet과 radio 등장, 인터넷의 철학

  • minimalism, autonomy : no internal changes required to interconnect networks
  • best effort service model
  • stateless routers
  • decentralized control
  1. 네트워크 연결의 내부적인 변화를 주지 않는다.

  2. Best effort service model : 최선을 다하지만 throughput, delay, loss 등의서비스 품질을 보장하지 않으며 그때 그때 망 상황에 따라 품질이 결정되는 서비스

  3. Stateless routers : 오류가 나도 report로 저장하지 않는다.

  4. Decentralized control : 중앙제어 하지 않는다

80년대: TCP/IP, DNS

90년대: Web의 등장, 누구나 인터넷을 쓸 수 있게 됨, security

현재: mobility, CDN 등장, cloud(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MEC(Multi access edge computing), Fog


Quiz

(30) T/F로 표시하시오.

(a) Akamai에서 운영하는 CDN(Content Distribution/Delivery Network)에는 한개의 컨텐츠 회사 데이터만 지나다닌다. F

⇒ akamai같은 CDN에는 한 회사의 트래픽만 지나다닐 수 없음. (수업 시간에 Akamai는 Thire Party Content "Provider" Network 회사라고 했는데 CDN과 CPN을 공용으로 써도 되는 건가요? 네. 공용해서 사용함

(b) Throughput을 결정하는 bottlenext link는 source와 destination 사이 링크들 중 Transmission rate 값이 가장 큰 링크이다. F

⇒ source와 destination 사이의 end-to-end path 중에 transmission rate이 가장 작은 링크

→ Transmission rate이 가장 적은 링크이거나 아주 높은 링크의 다음 링크” 라고 보조설명을 한답변이 있었는데 약간 불안합니다. 지금은 이론적인 상황만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source와 destination 사이의 end-to-end path 중에 transmission rate이 가장 작은 링크가 맞습니다. 아주 높은 링크의 다음 링크는 e2e path에 속한 링크가 딱 2개인 경우를 설명하는 것 같네요..

(c) 2계층 PDU 이름은 segment 이고 4계층 PDU 이름은 frame 이다. F

⇒ 5계층:메시지, 4계층: 세그먼트, 3계층: 패킷 or datagram, 2계층: 프레임

(d) 두 사용자가 Point-to-point로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제3의 해커가 sniffing할 수 있다. F

⇒ 사이에 제 3의 해커가 위치해야 sniffing 할 수 있음

(e) 사용자의 실행 없이도 자가복제가 가능하며, 주로 네트워크 링크 혹은 서버를 공격하는 malware를 worm이라고 한다. T

(f) ALOHA 네트워크는 ARPANET 이전에 등장했다. F

⇒ ARPAnet은 60년대 등장한 인터넷의 어머니

(g) 1970년대에는 DECnet, XNA등 다양한 네트워크가 등장했다. T

(31) Throughput을 정의하시오.

⇒ end host와 end host 사이 혹은 sender와 receiver, source와 destination 사이 단위시간당 전송되는 비트수 혹은 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

(32) 슬라이드 #62 답은?

⇒ ****Rc 가 bottleneck, 종단 대 종단으로 취할 수 있는 최대 throughput은 

20Mbps = min{Rs(40),R(400/4=100), Rc(20)} Mbps

4쌍의 client-server가 동시에 connection을 열어서 사용한다는 가정을 한 것 이므로 중간 링크의 속도를 the shared-link transmission capacity (400Mbps)를 4로 나눈 100 Mbps로 봄

(33) 슬라이드 #62에서 만일 서버쪽이 모두 90Mbps, 중간 링크가 300 Mbps, 클라이언트쪽이 모두 100 Mbps라면 Throughput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 75Mbps= min{ Rs(90), R(300/4=75), Rc(100) }

(34) 최초의 인터넷 서비스는?

⇒ E-mail

(35) best-effort 서비스의 의미는?

throughput, delay, loss 등의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지 않으며 그때 그때 망 상황에 따라 품질이 결정되는 서비스

(36) Vint Cerf가 설립한 internetworking의 4가지 원칙은?

  • 각 ISP의 자치권 보장 (즉, 최소한의 변경으로 ISP 망 연결)
  • end-host들에게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지 않는 best-effort 서비스
  • 라우터들이 지나간 연결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지 않는다.
  • 하나의 관리자가 제어하지 않는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