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CP는 loss를, UDP는 아무것도 support 하지 못 함
저장된 걸 뽑아 오는 streaming Loss-sensitive (TCP)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streaming Delay-sensitive (UDP)
⇒ transport layer에서 port number를 통해 application layer에서 communication 중인 application layer process를 찾아간다.
Process ID는 employ number, port number는 office number (한 프로세스가 여러 개의 포트를 열고 쓸 수 있다)
port number도 OS가 관리하는 자원, transport layer가 보내주는 PDU 헤더에
port number field size가 16bit → 2^16-1까지 표현 가능 → 65535까지
Web은 loss-sensitive(문서가 정확히 와야 하기 때문) → TCP
⇒ Web(application layer application)의 application layer protocol
Web page는 base HTML-file(Hypertext와 Object를 가리키는 URL들)로 구성
Hypertext: 문서 안에 또 다른 정보들을 url로 표시해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에서 가져옴 (클릭을 통해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비순차적 접근)
Client/Server model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있는 정보를 가져와 사용자에게 display해줌. 모두 Http protocol을 통함
loss-sensitive한 web document를 가져오기 위해 transport layer의 protocol TCP를 사용.
HTTP message를 보내기 위해 TCP connection을 맺고(UDP는 바로 보냄)
TCP connection set up: end system끼리 전용 소켓을 열어 dedicate
(1) TCP connection set-up
⇒ Http가 TCP protocol을 사용하면 one-round trip 시간이 소요
(2) HTTP message exchange
(3) TCP connection closed
HTTP는 stateless
→ server는 past client requests에 대해 정보를 보관하지 않음
TCP를 이용해 안전한 정보가 오면 HTTP는 두 가지 모드로 작동이 가능
TCP에 setup 해놓은 connection 자원(열어놓은 소켓, 버퍼)을 유지하느냐?
맺어놓은 TCP connection으로 하나의 object 정보를 가져옴 → closed
downloading multiple objects ⇒ multiple connections
1a. server host의 IP주소를 찾은 후 connect, 80번 port로 접근
client만을 위한 전용 TCP 소켓이 생성 됐고(buffer 등 자원 확정) 80번 port는 다른 connection을 위해 다시 listen
client가 보낸 request에 대해 base html(text+urls)로 response
server는 response 후에 TCP connection을 close
client가 열어보니 10개의 Object urls 발견
10개의 Object에 대해 0~5까지의 과정 반복
RTT: 한 패킷이 end to end로 one round trip 하는데 소요되는 delay
time to transmit file: X bits/L (transmission delay)
response time per 1 object = TCP connection response + base html response + file transmission time = 2RTT
⇒ response time: 2RTT + (2RTT)*10 = 20 RTTs
OS가 client가 한 번에 열 수 있는 TCP connection 수를 제한
Ex. 한 번에 10 개를 열 수 있다 → 10 request & response at the same time
⇒ response time: 2RTT + (2RTT) = 4RTTs (시험 문제)
Ex. 한 번에 3개를 열 수 있다 → 3 request & response at the same time
⇒ response time: 2RTT + (2RTT)*4 = 10RTTs (시험 문제)
multiple objects ⇒ can be sent over single TCP connection
server가 response를 보낸 후에도 connection을 close 하지 않음 → 다음 client request에는 이후의 TCP connection set-up time이 필요 X
⇒ response time: 2RTT + RTT = 3RTTs
왜 2RTT 이후 열 번 보내지 않고 한 번 보냄?
HTTP pipelining: HTTP request msgs are sent on a single TCP connection without waiting for the responses
TCP의 sliding window에 의한 pipelining으로 server의 ACK 없이도 client의 sender buffer에서 server의 receiver buffer로 msgs가 한 번에 감
name of the file that is being retrieved in thie GET msg? index.html
version of HTTP the client running? 1.1
TCP Connection setup후 socket을 맺었는데 왜 Host명을 또 요청하는가?
⇒ Receiver가 아닌 Proxy 서버와 TCP connection을 맺었을 수 있음. 이 msg가 Server가 아닌 Proxy Server로 갈 수 있고, Proxy에 cache가 없다면 Server와 다시 connection을 맺어야 하므로 host명이 필요함.
⇒ X. http msg엔 필드를 얼마든지 추가할 수 있음. If-Modifed-Since
라는 필드가 있다면 이미 받은 적이 있는 파일이 update되었는지 다시 한 번 request를 보낸 것. 서버는 updated 되지 않았다면 not-modified res를 보낼 것
Keep-Alive
?⇒ persistent HTTP 쓰려는 것. 115초동안 TCP Connection 끊지 말라는 뜻
⇒ Client가 요청한 content 줄 수 있다.
Last-Modified
(중요)⇒ Date는 서버가 response msg를 보내느 시각, Last-Modified
는 Response msg에 전송되는 정보가 생성된 (혹은 마지막으로 업데이트 된) 시각
Keep Alive
(중요)⇒time out=10, max=100
10초 안에 다시 요청하면 connection 유지, 100개 까지 연결을 끊지 않고 받을 수 있다.
Connection
(중요)⇒ 연결을 끊지 않고 Keep-Alive 해줄 수 있다. Close
라면 연결을 끊을 것.
⇒ receiver의 buffer, router(in networks)'s output buffer 의 overflow 막아줌
Flow Control: end-system receiver buffer의 overflow 현상을 막기 위해 receiver가 sender에게 현재 버퍼의 용량을 알려줌
Congestion Control: end systems 사이의 network에 있는 router의 output buffer(queue)에서 queueing delay를 넘어 overflow가 일어나지 않도록 제어
Ex. 수잔이 특정 PC에서 Internet을 사용. 처음으로 이커머스 사이트(서버) 방문
→ 서버는 이 클라이언트에게 ID(관리측면) 할당. 브라우저에서 쿠키를 enable해놓으면 서버는 클라이언트를 ID로 관리
1) 서버가 cookie를 initiate 해 set-cookie
라는 필드로 넣어 response
2) 다음에 다시 요청할 때 cookie 값을 담아서 요청
→ 서버는 해당 클라이언트를 cookie로 관리할 수 있음
컴퓨터를 껐다 켜더라도 cookie값으로 다시 요청할 수 있음
⇒ http의 stateless한 특성을 cookie를 통해 state하게 만들 수 있음!'
(41) T/F 를 표시하시오.
(a) Web 서비스를 지원하는 HTTP와, stream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HTTP 모두 transport 계층에서 TCP를 사용한다.
⇒ F. (저장된 파일을 streaming하는 서비스는 loss sensitive하여 TCP를 사용하지만, 실시간으로 streaming하는 서비스는 UDP를 사용한다)
(b) 만일 내가 접근하는 홈페이지가 text와 하나의 오디오파일, 그리고 두개의 그림 파일을 포함하고 있다면, base HTML-file에는 총 3개의 URL을 포함하고 있다.
⇒ T
(c) 어떤 호스트 컴퓨터의 응용 프로세스(가령 P라고 하자)로 전달되는 메세지가 있다. 인터넷의 라우터들이 이 메시지를 P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그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port 번호를 알아야한다.
⇒ F.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port 번호를 알아야 하는 건 end system의 transport layer이다. (이 port 번호는 TCP segment의 헤더에 16bit로 표현되어 있다.) end system 사이의 network에 있는 라우터들에는 transport layer가 존재하지 않는다.
(d) 컴퓨터 성능과 네트워크 카드(네트워크 링크 용량)을 무시한다고 가정할 때, UDP를 사용하는 5계층 프로토콜은 TCP를 사용하는 5계층 프로토콜보다 더 빨리 application message를 네트워크로 transmit 한다.
⇒ T. UDP는 TCP가 제공하는 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을 하지 않으므로 더 빨리 message를 전달할 수 있다.
(e) 두 호스트 사이에 TCP가 connection set-up 한다는 의미는 중간 네트워크 라우터와는 무관한 작업이다.
⇒ T. TCP connection set-up은 두 호스트의 transport layer에서 일어나는 작업이므로 transport layer가 존재하지 않는 중간 네트워크의 라우터와 무관하다.
(f) HTTP는 기본적으로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지 않는 stateless 프로토콜이나, Cookie 기능을 사용하면 stateful 하게 동작한다.
⇒ T.
(g) Persistent HTTP를 사용하는 서버는 하나의 클라이언트에게 항상 단 한개의 TCP connection만 사용한다.
⇒ T. Persistent HTTP를 사용하는 server는 response를 보낸 후에도 TCP connection을 close 하지 않아 어느 한 시점에 열려있는 socket의 수는 한 개이다. 따라서 항상 단 한 개의 TCP connection만 사용한다. :)
(h) HTTP의 cookie는 클라이언트 호스트가 web browser에 사용여부를 설정할 수 있게 되어있다. 따라서 HTTP cookie ID는 HTTP client 호스트에 의해서 생성된다.
⇒ F.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대한 cookie를 초기 생성해 set-cookie라는 필드에 넣어 response 한다. 클라이언트는 이 cookie를 저장해 다음 요청 시 message field에 cookie를 담아 요청할 수 있다.
(42) HTTP가 non-persistent with parallel TCP connection을 사용하는 서버로부터 13개의 URL을포함한 base-HTML을 받은 상황을 가정하자. 만일 (서버와 클라이언트) OS가 4개의 TCP의 connection을 (4개의 TCP socket을) 동시에 열도록 허용한다고 가정하면, base-HTML을 가져오기 위해 소요된 2RTT외에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은? (RTT로 표현하시오.)
⇒ 8RTTs. 동시에 4개의 TCP connection을 열 수 있다면 13개의 URL을 받는데 필요한 connection은 4개이다. 하나의 URL을 받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2RTT이므로,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은 8RTTs이다.
(43) 위 (42)번 문제에서 서버가 해당 클라이언트에 동시에 최대 몇 개의 TCP 연결(socket)을 여는가?
⇒ 4개.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 최대 4개의 소켓을 연다.
(44) 어떤 클라이언트가 text 외에 10개의 object가 포함된 web page를 보고자 한다. 이때 HTTP가 non-persistent with parallel TCP connection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서로 다른 TCP socket이 몇 개나 열렸다(set-up) 닫히(close)는가?
⇒ n+1개. OS가 동시에 열도록 허용하는 소켓의 개수를 N개라고 한다면, base-html을 가져오기 위해 열리는 한 개의 소켓과 10개의 object를 가져오기 위해 n개의 socket이 열렸다 닫힌다. 이 때 OS가 base-html을 가져오기 위해 열리는 한 개의 소켓을 재사용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
→ 모두 11개 = base-HTML을 가져오기 위한 TCP 1 + 10개 object를 가져오기위해 별도로 열리는 TCP socket 각 10개
with parallel이라는 것은 시간적 측면에서 동시에 열린다는 의미이지, TCP 열렸다 닫히는 과정(즉 횟수)는 without parallel과 동일합니다.
(45) 어떤 클라이언트가 text 외에 10개의 object가 포함된 web page를 보고자 한다. 이때 HTTP가 non-persistent without parallel TCP connection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서로 다른 TCP socket이 몇 개나 열렸다(set-up) 닫히(close)는가?
⇒ 11개. base-html을 가져오기 위해 한 개의 socket이, 10개의 object를 가져오기 위해 10개의 socket이 열렸다 닫힌다. 이 때 OS가 base-html을 가져오기 위해 열리는 한 개의 소켓을 재사용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
컴퓨터 네트워크 공부하다가 우연히 접속하게 된 블로그인데 정말 정리가 잘 되어있고 설명이 정말 정말 정말 좋아요.. 그리고 끝에 나오는 퀴즈를 통해서 복습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습니다... 이렇게 잘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정말로요... 진짜 최고입니다.. 짱 최고최고최고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