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법론 | 전통적인 방법론 (Waterfall) | Agile 방법론 |
---|---|---|
사용자 중심 | 사용자 요구사항을 초기에 명확히 정의하고, 변경이 어려움. | 사용자 중심으로 지속적인 피드백과 협력을 통해 요구사항을 명확히 함. |
배포 주기 | 프로젝트가 완료된 후에 한 번에 배포. | 빠른 출시와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반복적으로 배포. |
변화 대응 | 변화에 대한 대응이 어려움. |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며, 불확실성을 관리함. |
개인 간 협력 | 프로세스와 도구를 중시함. | 개인 간의 협력과 소통을 강조함. |
고객과의 협력 | 고객과의 협력이 제한적임. | 고객과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요구사항을 명확히 함. |
Agile이 적합한 경우:
Agile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
VS Code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 후, Docker와 Kubernetes를 사용하여 배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Dockerfile: Docker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명세서입니다. 이 파일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설정과 의존성이 포함됩니다.
작성 예시:
# 사용할 베이스 이미지 지정
FROM python:3.9-slim
# 작업 디렉토리 설정
WORKDIR /app
# 소스 코드 복사
COPY . .
# 의존성 설치
RUN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
#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어
CMD ["python", "app.py"]
docker build -t myapp .
-t
옵션은 이미지에 태그를 붙입니다..
은 현재 디렉토리를 의미합니다.docker run -p 5000:5000 myapp
-p
옵션은 호스트 포트와 컨테이너 포트를 매핑합니다.docker tag myapp:latest /myapp:latest
docker push /myapp:latest
Deployment YAML 파일 작성: Kubernetes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YAML 파일을 작성합니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myapp-deployment
spec:
replicas: 3
selector:
matchLabels:
app: myapp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myapp
spec:
containers:
- name: myapp
image: /myapp:latest
ports:
- containerPort: 5000
kubectl apply: YAML 파일을 통해 Kubernetes에 배포합니다.
kubectl apply -f deployment.yaml
VS Code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 후, Dockerfile을 작성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Kubernetes에 배포하여 Pod에서 실행하는 과정을 통해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할 수 있습니다.
구분 |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 Sprint 및 Scrum |
---|---|---|
역할 | 프로젝트를 작은 작업 단위로 나누어 관리. 일정, Task, 담당자, 선행 처리 확인 등의 역할. | 짧은 기간 동안 개발팀이 목표한 기능을 개발하고 배포하는 반복적인 개발 주기. |
피드백 반영 |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개선점을 파악하고 다음 단계에 반영. | 각 스프린트 후에 팀이 진행 상황을 검토하고, 개선점을 파악하여 다음 스프린트에 반영. |
유연성 | 유연한 개발 진행으로 고객의 요구사항 변경이나 예상치 못한 문제 발생 시 빠르게 대응 가능. | 스프린트를 통해 고객의 요구사항 변경이나 예상치 못한 문제에 빠르게 대응 가능. |
리스크 최소화 |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이 중요. | 스프린트 단위로 리스크를 관리하고 최소화함. |
Scrum은 Agile 개발 방식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Kanban은 작업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관리하는 방법론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Low-Code 솔루션은 개발자와 비개발자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도구로, 코드 작성 없이도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습니다.
테일러링은 프로젝트의 특성과 기관에 맞춰서 특정 상황에 맞게 방법론, 프로세스, 도구 등을 조정하는 것입니다.
Agile 방법론은 빠르게 변화하는 요구사항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개발 방식으로, Scrum과 Kanban 같은 프레임워크를 통해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Low-Code 솔루션과 테일러링은 프로젝트의 특성에 맞게 개발 과정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