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딕셔너리
dict : key, value 로 구성
-----------------------------------------------------
dic = {'one': '1', 'two': '2'} #키, 값
dic['one'] => 1
del dic['one']                 #원소 삭제
dic.keys()                     #키만 얻음
dic.values()      			   #값만 얻음
dic.items()					        #원소(키/값 쌍)
dic([('one': '1'), ('two': '2')])   #결과
'one' in dic      #키가 있는지 유무 (T/F)
💻 집합
set : 중복되지 않은 원소로 구성
ex) {'apple', 'banana', 'grape'}
💻 문자열 => 문자열의 일부 문자를 대입형으로 변경 불가
x = 'apple'
x[0]           => 'a'
x[:3]          => 'app'
x[3:]          => 'le'
x = 'b'+x[1:]  => x가 bpple로 변경
x[-1:]         => e
x[:]           => apple 전체
x[::-1]        => 역순으로 복사 'elppa'
x.replace('바꾸고 싶은 단어', '바꿀 단어')
x.find('e')    => e 위치 찾기 => 5
x.strip()      => 문자열 끝 공백제거 함수
x.split()[0]
ex) x = ['python', 'c++']
    x.split()[1] #단어 알아내기
 >>>'c++'
 
✔️ 문자열의 리스트
 fruit = ['apple', 'banana']
 fruit[:1]     #['apple']
 fruit[0]      #'apple'
💻 리스트 예제
x = [1,5,2,10]
 x.append(11)   #11을 원소로 리스트에 추가
 x.sort()       #순서정렬 함수
 x.insert(2,4)  #2(+1)번째 자리에 4 삽입
 del x[2]       #2(+1)번째 원소 삭제
 x.pop()        #마지막 원소 삭제
 x[0] = 0       #새로운 원소 값 지정 가능
 
>>>family = ['mother', 'father', 'me'] #리스트
>>>len(family)                         #len > 리스트의 길이 추출 함수
>>>family.remove('me')                 #리스트에서 'me' 삭제
>>>print(family)                       #or family
-------------------------------------------------------------------
['mother', 'father']
✔️리스트 = 2차원 리스트 가능 ex)family=['a', 'b', ['c', 'cc', 'ccc'], 'd']
        = 행렬 가능 ex)matrix = [[1, 2, 3], [4, 5, 6], [7, 8, 9]]
      
✔️문자열을 리스트로 변경
strTolist = []
str = 'str'
for i in str:
	strTolist.append(i) #['s', 't', 'r']
    
또는
list('str') #바로 문자열을 리스트로 바꾸기
✔️숫자를 문자열로 바꾸기
num = 123
str(num) #'123'
✔️문자열을 숫자로 바꾸기
int('123')
float('123')  #123.0
✔️리스트 원소의 합
oneToten = list(range(1, 11))   #['1', '2', '3', '4', '5', '6', '7', '8', '9', 10']
sum(oneToten)                   #1~10까지의 합
💻 튜플 => 원소값 직접 바꿀 수 없어서 오려붙여야 함
d,c = c,d   #한번에 값 바꾸기 가능
print(c, d) #한번에 출력 가능
t = ('a', 'b', 'c') #괄호의 유무는 상관 없지만 빈 튜플 생성시 괄호 필수
t = 5,              #원소 하나인 튜플 원소 뒤에는 콤마 필수
                    #출력 : (5,)
t = t[:1] + ('c', 'd') + t[1:3] #원소값 바꾸는 법
t = p[:1], 'c', p[2:] #(('a',), 'c', ('c',))
p = (1, 2, 3)
q = list(p)                  # 튜플 p -> 리스트 q => [1,2,3]
r = tuple(q)                 # 리스트 q -> 튜플 r => (1,2,3)
💻 세트 => 집합, {}사용
fruit = set() #빈 세트 생성
fruit = {'apple', 'banana'}
fruit.add('grape') #원소 추가
#세트의 교집합(&), 합집합(|), 집합간 뺄셈(-)
#중복 원소를 갖지 않으며 원소의 순서가 유지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