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수: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
// !!함수 선언
function sum(a, b){ //a와 b는 매개변수(Parameters)
return a+b
}
// !!재사용
let a = sum(1,2); // 1과 2는 인수(Arguments)
let a = sum(7, 12);
let c = sum(2, 4);
console.log(a,b,c); // 3, 19, 6
let a = sum(1,2)여기서 (1,2)는 호출(함수가 실행)하는것.
이렇게 들어온 데이터들을 함수가 받아서 내부에서 처리 후 내보내준다.
이러한 함수 내에서 사용하는 변수를 데이터를 받아주는 매개체가 되는 변수라는 뜻으로 매개변수(Parameters)라고 한다.
let a = sum(1,2);
let b = sum(7, 12);
let c = sum(2, 4);
여기서 (number, number) 는 각각 매개변수의 (a,b)이다.
각각 매개변수 a와 b가 받아와 a+b를 해주어 함수 밖으로 내보내 준다.
이로서 let a는 3, let b는 19, let c는 6이 된다는 걸 예상할 수 있다.
함수를 선언할 때 함수가 호출되는 부분에서 데이터를 집어넣을 수 있고, 데이터를 집어넣은것을 받아 줄 변수를 소괄호 사이에 정의할 수 있다.
이렇게 정의된 변수를 함수 안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받아주는 매개체가 되는 변수라고 해 매개변수라 부르고, 그 매개변수가 받아 줄 특정한 데이터를 인수라고 한다.
// 기명(이름이 있는) 함수
// !!함수 선언
function hi(){
console.log('Hi');
}
// 익명(이름이 없는) 함수
// !!함수 표현
let hello = function () {
console.log('Hello');
}
// !!함수 호출
hi(); // Hi
hello(); // Hello
함수 선언을 할 때 함수의 이름이 명시되어 있는 함수를 기명함수라고 한다.
함수 선언을 할 때 함수의 이름이 없는 함수를 익명함수라고 한다.
!함수부분에 이름을 지정하지 않으면 함수를 호출할 수 없다.
익명함수는 데이터로 활용될 수도 있고 변수에 할당해 사용하기도 한다.
이름을 직접적으로 명시하면 선언
이름의 명시가 없이 변수에 할당해 사용하면 표현
// 객체 데이터
const lynn = {
name: 'lynn',
age: 60,
// 메소드(Method)
getName: function() {
return this.name
}
};
const herName = lynn.getName();
console.log(herName); // lynn
// or
console.log(lynn.getName()); // lynn
객체대이터 내부의 속성에 함수가 할당되어 있으면 메소드(Method) 라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