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 간단한 http Server 작성하기

김씨·2023년 1월 17일
0

Node.js

목록 보기
1/17
post-thumbnail

1. http Server 만들기

Node.js에는 아주 간편하게 http 서버를 만들 수 있는 모듈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있다.

아래와 같은 코드만 작성한 뒤, 실행하면 웹서버가 작동하게 된다.

const http = require('http');

http.createServer((req, res) => {
	res.write('<h1>Hello, World!</h1>');
	res.end();
}).listen(3000);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3000 으로 접속하면 Hello, World!가 보이며 정상 동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본적으로 http 서버는 80번 포트를, https 서버는 443번 포트를 사용하는데, 이렇게 자주 사용되는 기본 포트들은 브라우저에서 접속할 때 생략이 가능하다.

https://naver.com 에 접속하면 https://naver.com:443 으로 접속하는 것과 같은 의미인 것이다.

그러나 3000 같은 임의의 포트를 사용하게 되면 반드시 포트 번호를 명시해줘야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2. html 파일 Serving하기

이번에는 단순 문자열이 아닌, html 파일을 전달해보자.

const http = require('http');
const fs = require('fs').promises;

http.createServer((req, res) => {
    fs.readFile('./index.html').then(data => {
        res.end(data)
    }).catch(err => {
        console.err(err)
        res.writeHead(400);
        res.end(err.message);
    })
}).listen(3000);

우선 파일을 읽기 위해 fs 내장 모듈을 불러온다.

원래 readFile()은 콜백 함수를 인자로 받아 읽기 성공/실패 이후의 동작을 비동기적으로 핸들링하게 되는데, require('fs').promises 로 가져오게 되면 Promise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콜백 지옥을 피하면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title>HOME</title>
</head>

<body>
    Home Page
</body>

</html>

어쨌든 위와 같은 index.html 파일을 읽어 와서 성공시 파일의 내용을 그대로 반환하고, 실패 시 400번 StatusCode와 함께 오류 메세지를 전달한다.

이번에도 아주 잘 작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3. Response Header 작성하기

처음에 작성했던 코드를 다시 실행해보자.

const http = require('http');

http.createServer((req, res) => {
	res.write('<h1>Hello, World!</h1>');
	res.end();
}).listen(3000);

그리고 이번엔 크롬이 아닌 사파리에서 http://localhost:3000 에 접속해보자

크롬은 <h1> 태그가 텍스트가 아닌 html 태그임을 인식하고 bold체로 렌더링해줬지만, 사파리는 <h1> 태그조차 텍스트로 렌더링해주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브라우저마다 동작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고 일관적인 동작을 위해 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해줘야 한다.

const http = require('http');

http.createServer((req, res) => {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
    res.write('<h1>Hello World!</h1>');
    res.end();
}).listen(3000);

res.writeHead() 메소드에 200, { 'Content-Type': 'text/html' } 를 인자로 전달해준다.

이렇게 하면 어떤 브라우저라도 현재 서버에서 보내주는 텍스트가 html 임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제 사파리에서도 정상적으로 html 태그를 인식하고 렌더링하는 것을 볼 수 있다.

200 은 Status Code라고 부르며, 각 숫자 코드에 따라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다른 코드를 보내줘야 한다.

200은 요청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암시하는 상태 코드다.

이렇게 작성된 Header는 네트워크 탭에 들어가면 확인할 수 있다.

Status Code 200, Content-Type text/html로 잘 설정된 것을 볼 수 있다.

참고로 res.writeHead() 없이 작성된 첫번째 코드의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크롬이 html 태그를 인식해서 잘 렌더링 해주기는 했지만, Content-Type을 자동으로 넣어주지 않고 누락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서버에서 보내주는 텍스트에 한글 등이 포함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이 텍스트가 깨지게 된다.

그럴 때는 아래와 같이 charset=utf-8 을 추가해주면 정상 동작한다.

const http = require('http');

http.createServer((req, res) => {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
    res.write('<h1>안녕, 세계!</h1>');
    res.end();
}).listen(3000);

Response Header에도 charset=utf-8 이 잘 추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