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에 질문을 잘 받아주기로 유명한 중앙대학교의 JH 교수님은 학생들로부터 재귀함수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많은 질문을 받아왔다.
매번 질문을 잘 받아주셨던 JH 교수님이지만 그는 중앙대학교가 자신과 맞는가에 대한 고민을 항상 해왔다.
중앙대학교와 자신의 길이 맞지 않다고 생각한 JH 교수님은 결국 중앙대학교를 떠나기로 결정하였다.
떠나기 전까지도 제자들을 생각하셨던 JH 교수님은 재귀함수가 무엇인지 물어보는 학생들을 위한 작은 선물로 자동 응답 챗봇을 준비하기로 했다.
JH 교수님이 만들 챗봇의 응답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입력
교수님이 출력을 원하는 재귀 횟수 N(1 ≤ N ≤ 50)이 주어진다.
출력
출력 예시를 보고 재귀 횟수에 따른 챗봇의 응답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2
예제 출력 1
어느 한 컴퓨터공학과 학생이 유명한 교수님을 찾아가 물었다.
"재귀함수가 뭔가요?"
"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세상 모든 지식을 통달한 선인이 있었어.
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 선인에게 수많은 질문을 했고, 모두 지혜롭게 대답해 주었지.
그의 답은 대부분 옳았다고 하네. 그런데 어느 날, 그 선인에게 한 선비가 찾아와서 물었어."
____"재귀함수가 뭔가요?"
____"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세상 모든 지식을 통달한 선인이 있었어.
____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 선인에게 수많은 질문을 했고, 모두 지혜롭게 대답해 주었지.
____그의 답은 대부분 옳았다고 하네. 그런데 어느 날, 그 선인에게 한 선비가 찾아와서 물었어."
________"재귀함수가 뭔가요?"
________"재귀함수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라네"
________라고 답변하였지.
____라고 답변하였지.
라고 답변하였지.
예제 입력 2
4
예제 출력 2
어느 한 컴퓨터공학과 학생이 유명한 교수님을 찾아가 물었다.
"재귀함수가 뭔가요?"
"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세상 모든 지식을 통달한 선인이 있었어.
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 선인에게 수많은 질문을 했고, 모두 지혜롭게 대답해 주었지.
그의 답은 대부분 옳았다고 하네. 그런데 어느 날, 그 선인에게 한 선비가 찾아와서 물었어."
____"재귀함수가 뭔가요?"
____"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세상 모든 지식을 통달한 선인이 있었어.
____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 선인에게 수많은 질문을 했고, 모두 지혜롭게 대답해 주었지.
____그의 답은 대부분 옳았다고 하네. 그런데 어느 날, 그 선인에게 한 선비가 찾아와서 물었어."
________"재귀함수가 뭔가요?"
________"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세상 모든 지식을 통달한 선인이 있었어.
________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 선인에게 수많은 질문을 했고, 모두 지혜롭게 대답해 주었지.
________그의 답은 대부분 옳았다고 하네. 그런데 어느 날, 그 선인에게 한 선비가 찾아와서 물었어."
____________"재귀함수가 뭔가요?"
____________"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세상 모든 지식을 통달한 선인이 있었어.
____________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 선인에게 수많은 질문을 했고, 모두 지혜롭게 대답해 주었지.
____________그의 답은 대부분 옳았다고 하네. 그런데 어느 날, 그 선인에게 한 선비가 찾아와서 물었어."
________________"재귀함수가 뭔가요?"
________________"재귀함수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라네"
________________라고 답변하였지.
____________라고 답변하였지.
________라고 답변하였지.
____라고 답변하였지.
라고 답변하였지.
무슨 이런 문제가 존재하지....ㅋㅋㅋㅋㅋ;;
예전에 스터디원 분께서 재미있는 문제라고 한 번 풀어보라고 하셨던 문제인데 음주 상태인 김에 가볍게 풀어보았다.
근데 생각보단... 쉽지 않았다ㅎ...
그냥 재귀 함수 호출하면 되지~ 생각했는데
욕심에 최대한 효율적으로 해보려고 하다 보니까 더 헷갈렸던 것도 있었고...
마지막에는 다른 호출과는 달리 "재귀함수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라네"를 출력해야 하는 것 때문에 어떻게 해야 될지 좀 고민했었다.
지금 생각해보니까 함수를 분리해서 구현하면 더 가독성이 좋을 것 같기도 하고.
import java.io.*;
class Main {
static String[] arr = new String[7];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arr[0] = "어느 한 컴퓨터공학과 학생이 유명한 교수님을 찾아가 물었다.\n";
arr[1] = "\"재귀함수가 뭔가요?\"\n";
arr[2] = "\"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세상 모든 지식을 통달한 선인이 있었어.\n";
arr[3] = "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 선인에게 수많은 질문을 했고, 모두 지혜롭게 대답해 주었지.\n";
arr[4] = "그의 답은 대부분 옳았다고 하네. 그런데 어느 날, 그 선인에게 한 선비가 찾아와서 물었어.\"\n";
arr[5] = "\"재귀함수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라네\"\n" ;
arr[6] = "라고 답변하였지.\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arr[0]);
recursion(0, N, sb);
System.out.println(sb.toString());
}
private static void recursion(int curr, int max, StringBuilder sb) {
if (curr > max) {
return;
}
// 현재 재귀 호출에서 출력되어야 하는 언더버 개수만큼 append
StringBuilder underbar = new StringBuilder();
for (int j = 0; j < 4 * curr; j++) {
underbar.append("_");
}
// 마지막 재귀 호출인 경우
// "재귀함수가 뭔가요?"
// "재귀함수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라네"
if (curr == max) {
sb.append(underbar);
sb.append(arr[1]);
sb.append(underbar);
sb.append(arr[5]);
} else {
// 마지막 재귀 호출이 아닌 경우
// "재귀함수가 뭔가요?"\n"잘 들어보게 ... 찾아와 물었어"
for (int i = 1; i <= 4; i++) {
sb.append(underbar);
sb.append(arr[i]);
}
}
// curr을 max가 될 때까지 증가시키며 재귀 호출
recursion(curr + 1, max, sb);
// 라고 답변하였지
sb.append(underbar);
sb.append(arr[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