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 인프라 환경을 지원하는 도구1.도커도커는 컨테이너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를 만들고 관리하는 것을 도와주는 컨테이너 도구입니다. 도커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운영체제 환경에 관계없이 독립적인 환경에서 일관된 결과를 보장합니
테스트 환경 구성하기 코드형 인프라 코드형 인프라란 코드로 하드웨어를 설정하고, 운영 체제를 설치하고,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개발 환경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즉, 코드로 인프라를 소프트웨어처럼 다룰 수 있습니다. 코드로 인프라를 생성할 수 있게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는
오케스트레이션이란 복잡한 단계를 관리하고 요소들의 유기적인 관계를 미리 정의해 손쉽게 사용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마합니다. 다수의 컨테이너를 유기적으로 연결, 실행, 종료할 뿐만 아니라 상태를 추적하고 보존하는 등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주
kubectl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명령을 내리는 역할로 다른 구성 요소들과 다르게 바로 실행되는 명령 형태인 binary로 배포되기 때문에 마스터 노드에 있을 필요는 없지만 통상적으로 API 서버와 주로 통신하여 마스터 노드에 구성api 서버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중심
run으로 생성된 Pod를 초코파이 한 개라고 한다면 create deployment를 통해 생성된 Pod는 초코파이 상자에 들어있는 초코파이 한 개이다.run으로 파드를 생성하면 단일 파드 1개만 생성되고 관리된다. crate deployment로 파드를 생성하면 D
많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웹 서비스를 하려면 다수의 파드가 필요한데, 이를 하니씩 생성한다면 매우 비효율적이다. 그래서 쿠버네티스에서는 다수의 파드를 만드는 레플리카셋 오브젝트를 제공한다.파드를 3개 만들겠다고 레플리카셋에 선언하면 컨트롤러 매니저와 스케줄러가 워커 노드
쿠버네티스는 거의 모든 부분이 자동 복구되도록 설계되어있다. 특히 파드의 자동 복구 기술을 셀프 힐링이라고 하는데,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컨테이너를 다시 시작하거나 교체해 파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한다.쿠버네티스는 파드 자체에 문제가 발생하면 파드를 자동 복구해서 파
파드를 운영하다 보면 컨테이너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치명적인 버그가 발생해 버전을 업데이트해야 할 때가 있다. 또는 업데이트하는 도중 문제가 발생해 다시 기존 버전으로 복구해야 하는 일도 발생한다. 이런 경우 어떻게 처리하는지 확인해 본다.
외부 사용자가 파드를 이용하는 방법을 배워본다일반적으로 서비스라고 하면 웹 서비스나 네트워크 서비스처럼 운영체제에 속한 서비스 데몬 또는 개발 중인 서비스 등을 떠올리지만 쿠버네티스에서는 외부에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접속하는 방법을 서비스라고 한다.외부에서 쿠버네티스
노드포트 서비스는 포트를 중복 사용할 수 없어서 1개의 노드포트에 1개의 디폴로이먼트만 적용된다. 하지만 여러 개의 디플로이먼트가 있을 때 그 수만큼 노드포트 서비스를 구동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쿠버네티스에서는 이런 경우에 인그레스를 사용한다인그레스는 고유한 주소를 제
앞 포스트의 연결 방식은 들어오는 요청을 모두 워커 노드의 노드포트를 통해 노트포트 서비스로 이동하고 이를 다시 쿠버네티스의 파드로 보내는 구조이다. 이 방식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그래서 쿠버네티스에서는 로드밸런서라는 서비스 타입을 제공해 다음 그림과 같은 간단한 구조
지금까지는 사용자 1명이 파드에 접근하는 방법을 알아봤다. 그런데 사용자가 갑자기 늘어나게 된다면 파드가 더 이상 감당할 수 없어서 해당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힘들 것이다. 쿠버네티스는 이런 경우를 대비해 부하량에 따라 디플로이먼트의 파드 수를 유동적으로 관리하
이번 장의 목표는 직접 만든 컨테이너 이미지를 쿠버네티스에서 사용하는 것이다. 쿠버네티스에서 이미지를 사용하려면 쿠버네티스가 이미지를 불러올 수 있는 공간에 이미지를 넣어 두어야 한다.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서 만들어졌고 컨테이너인 파드도 쉽게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