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uid사용isMatched=props.keyword === el >>> 검색한 것과 같은지 체크하는 부분!props는 사실 함수의 파라미터(매개변수)였다는 점!el은 사실 map()이라는 내장함수의 파라미터(매개변수) 였다는 점!prev은 사실 함수의 파라미터(매개변수) 였다는 점!

w는 어떤 문자 또는 숫자를 의미
\w는 어떤 하나의 문자 혹은 숫자를 의미
^는 시작을 의미
$는 끝을 의미
+는 한개 이상이면~ 을 의미

?는 없거나 한개일때 사용한다

*는 없거나 한개이거나 그 이상일때 사용한다(즉 모든경우!)

(이메일을 검증하는 로직 >>> 최종본)

\d: 숫자를 의미하는 것
{자리 수}: 자리 수 정하는 방법
예제) (아래 그림)

문자만 의미하는 것은 존재하지않는다!
그래서, [a-zA-Z] 는 문자만 의미하는 방법
\s: 공백(띄어쓰기를 체크하는 부분)

atom을 활용해서 global state를 만들어주고, app.tsx에서 <RecoilRoot>태그로 아이들을 감싸주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