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10 환경에서 WSL (Windows Subsystem for Linux) 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정리 글입니다.
- 공식 문서는 https://docs.microsoft.com/ko-kr/windows/wsl/install-manual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Microsoft Store 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없는 경우에 대비하여 아래 방법에서는
Local 직접 설치를 기반으로 진행합니다.- Microsoft Store 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면 해당 방법으로 진행해도 됩니다.
Windows Terminal 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부분을 건너뛰어도 무방합니다.
1-1) MS사의 github 링크로 이동하여 최신 release 버전의 Windows Terminal 을 설치합니다.
1-2) Latest 태그가 붙은 버전의 bundle 다운로드 → 설치
❗ 오류 발생 시
아래 링크로 이동하여 운영체제에 맞는 Visual C++ Runtime Package 를 설치합니다.
Terminal 실행 후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 작업이 완료되면 반드시 재부팅을 실시합니다.
< 오류 발생 시 직접 설정하는 방법 >
시작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검색 -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항목 체크 - 재부팅
최신으로 업데이트된 Windows 버전을 사용하고 있다면 건너뛰어도 무방합니다.
< 최소 사양 >
4-1) 아래 링크로 이동하여 원하는 배포판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https://docs.microsoft.com/ko-kr/windows/wsl/install-manual#downloading-distributions
4-2) 설치 후 username 과 password 를 설정하면 구동할 준비가 끝납니다.
아래 링크로 이동하여 패키지를 다운 받습니다.
✅ Next 만 눌러주면 곧바로 설치가 완료됩니다.
wsl -l -v
위처럼 VERSION 1 이면 아래 명령어를 통해 VERSION 2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NAME 에는 본인의 배포판 이름을 적습니다. (버전마다 상이함)
wsl --set-version ${NAME} 2
다른 배포판을 설치할 경우에도 버전 2가 적용되도록
아래 명령어를 통해 기본값을 변경해줍니다.
wsl --set-default-version 2
다시 버전을 확인하면 정상적으로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