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문은 코드의 실행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문이다. 이 조건문은 주어진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에 따라 다른 코드를 실행하게 됩니다.
가장 기본적인 조건문이며 특정 조건이 참(True)일 경우에만 해당 블록 내의 코드가 실행된다.
if 조건:
실행할 코드
여기에서 조건은 True
또는 False
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어야 한다. 조건이 True로 평가되면 if 문 바로 아래의 코드 블록이 실행되며 그렇지 않으면 그 코드 블록은 건너뛰어진다.
🖥️예제
bool1 = True
if bool1 :
print('결과는 참입니다')
print('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bool2 = False
if bool2 :
print('결과는 참입니다.')
print('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age = int(input('나이를 입력하세요:'))
if age > 19 : print('성인입니다.')
print('입력한 나이:', age)
실행문이 한줄일 경우에 위 예제처럼 if age > 19 : print('성인입니다') 한줄로 써도 상관없다.
else는 파이썬의 조건문 구조에서 if와 elif 조건들이 모두 거짓으로 평가될 경우 실행되는 부분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else는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자체로는 어떤 조건을 갖지 않습니다. 다시 말해, else 블록은 위의 if와 elif 조건들이 모두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만 실행된다.
if 조건1:
코드 블록1
elif 조걸2:
코드 블록2
else:
코드 블록3
🖥️예제
age = int(input('나이를 입력하세요: '))
if age > 19:
print('성인입니다.')
else:
print('미성년자입니다.')
print('입력한 나이', age)
age = int(input('나이를 입력하세요: '))
if age > 19:
print('성인입니다.')
print('넷플릭스 성인영화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else:
print('미성년자입니다.')
print('디즈니를 보세요')
print('입력한 나이', age)
elif는 if-else 구조에서 추가적인 조건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키워드이다. elif는 "else if"의 줄임말이며, 주어진 여러 조건 중에서 하나만 참일 때 실행되는 코드 블록을 정의합니다.
if 조건1:
코드 블록1
elif 조건2:
코드 블록2
elif 조건3:
코드 블록3
else:
코드 블록4
elif를 사용함으로써 여러 조건을 순차적으로 검사하고, 해당 조건에 따라 다른 행동을 취할 수 있다.
elif는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조건의 우선순위를 명확하게 만들어 준다.
🖥️예제
age = int(input('나이를 입력하세요: '))
if age > 19:
print('성인입니다')
elif age > 14:
print('청소년입니다')
elif age > 6:
print('어린이입니다')
elif age > 0:
print('유아입니다')
# else:
# print('입력을 확인하세요')
print('입력한 나이: ', age)
조건부 표현식은 파이썬에서 삼항연산자라고도 불립니다. 간단한 if-else 구문을 더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조건이 참인 경우 값 if condition else 조건이 거짓인 경우 값
🖥️예제
일반 if else 방식
num = int(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
if num % 2 == 0:
print('짝수')
else:
print('홀수')
![](https://velog.velcdn.com/images/manimm1/post/97a2bcdc-c373-4759-ba7b-e1454d116534/image.png)
> 조건부 표현식
```python
num = int(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print('짝수') if num % 2 == 0 else print('홀수')
kor, eng, math = input('점수를 입력해주세요 *구분은 띄어쓰기를 사용해주세요').split(' ')
sum = int(kor) + int(eng) + int(math)
ave = sum / 3
grade = ''
if ave >= 90:
grade = 'A'
elif ave >= 80:
grade = 'B'
elif ave >= 70:
grade = 'C'
elif ave >= 60:
grade = 'D'
else:
grade = 'F'
print('총점:', sum)
print('평균:', ave)
print('학점:', gr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