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론트엔드 로드맵 부시기 - 인터넷(2)

Manngold·2020년 7월 6일
0

도메인과 DNS

이번 챕터에서는 도메인과 DNS 그리고 DNS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도메인의 탄생

두 대의 컴퓨터 A와 B가 존재하고 두 컴퓨터가 통신을 합니다.

이 두 컴퓨터를 host 라고 합니다.

그리고 서로를 인식하기 위해서 IP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1. host :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를 host라고 칭합니다.
  2. IP 주소 :(Internet Protocol address, IP address)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번호이다.

예시로 구글의 IP 주소는 여러 주소가 있지만 그 중 하나가 216.58.200.14입니다.

사용자가 구글에 접속하기 위해서 216.58.200.14를 주소창에 입력하면 구글로 이동하게 됩니다.

하지만 사용자들은 접속하려는 서버의 ip 주소를 외우고, 입력하는 것에 지쳐서 IP 주소에 이름을 부여하는 도메인이라는 개념이 탄생하게 됩니다.

도메인 : (Domain) 도메인은 인터넷에서 IP 주소를 사람이 기억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 입니다.

DNS의 탄생

Before DNS

DNS가 탄생하기 이전에 Stanford Research Institute(SRI)에서 모든 IP와 도메인을 관리했습니다.

따라서 내 컴퓨터에 다른 사람들이 접속하길 원하면 SRI에 IP 주소와 도메인을 hosts 파일에 등록하고 받아서 사용을 했죠.

hosts file : hosts 파일은 운영 체제가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에 매핑할 때 사용하는 컴퓨터 파일이다.

처음에는 좋은 방식이었지만, 점점 한계에 부딪히게 됩니다.

hosts 파일이 업데이트가 되지 않으면 해당 컴퓨터에 접속 할 수 없었고, 수작업으로 업데이트를 했기에 막대한 비용이 들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DNS(Domain Name System)이 탄생하게 됩니다.

After DNS

DNS가 탄생하면서 사용자는 DNS 서버를 통해서 IP주소와 도메인에 접근할 수 있게 됐습니다

DNS 서버에 자신의 ip 주소와 도메인을 등록하고 사용자는 자신의 hosts 파일에 해당 접속하고자 하는 도메인에 대한 ip 주소가 없으면 DNS 서버에서 ip 주소를 찾아서 온 다음에 해당 서버에 접속 할 수 있게 된다.

DNS 탄생 덕분에 SRI를 통해서 hosts 파일을 관리 할 때의 문제점들이 해결됐습니다.

도메인 이름의 구조

네이버 지도에 들어가면 도메인을 다음과 같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map.naver.com.

네이버 지도의 도메인 구조를 분석해보면

  1. . : root domain
  2. com : Top-level domain
  3. naver : Second-level domain
  4. map : sub domain

전 세계에는 수 많은 DNS 서버가 존재하고 각각의 도메인 레벨마다 전담하는 서버들이 존재합니다.

우리가 도메인을 입력을 하면 root domain 서버에게 top-level domain을 보고 com에 대한 ip 주소를 갖고있는 top-level domain 서버에 대한 ip 값을 알려줍니다.

이후 top-level domain 서버는 second-level domain을 보고 해당되는 서버의 ip 주소를 알려주는 방식으로 sub domain 까지 내려가서 최종적으로 해당 도메인에 대한 ip 주소를 알 수 있게 됩니다.

사진 및 정보 출처 : 생활코딩(WEB2 - Domain Name System)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