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부터는 구글 코랩에서 '새 노트'를 클릭하고 코드를 작성해보세요^0^
'자료형이 무슨 말이지?'
자료형은 그냥 '값'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숫자형 자료형'은 '숫자 형태로 된 값'이고, 크게 세 가지가 있다.
다음 코드를 보자.
a = 3
print(a)
3
첫 번째 줄부터 차근 차근 읽어보자.
(구글 코랩에는 아래 부분만 직접 작성하면 됩니다.
a = 3
print(a)
재생 버튼을 누르거나 shift + enter를 동시에 누르면
아래와 같이 코드의 최종 명령어에 해당하는 값이 출력됩니다.
앞으로도 구글 코랩에서 직접 작성하고 값을 출력해보세요!)
a = 3.14
print(a)
3.14
첫 번째 줄부터 차근 차근 읽어보자.
a = 5.15E+10
print(a)
51500000000.0
a = 5.15E-10
print(a)
5.15e-10
숫자형 자료형끼리 사칙 연산을 할 수 있다.
a = 3
b = 5
print(a + b)
8
a = 3
b = 5
print(a - b)
-2
a = 3
b = 5
print(a * b)
15
a = 3
b = 5
print(a / b)
0.6
a = 3
b = 5
print(a // b)
0
a = 3
b = 5
print(a % b)
3
나누고 몫 값과 나누고 나머지 값은 기호를 헷갈릴 수 있다.
나는 그래서 // 기호는 목을 댕강댕강 두 번 잘랐다고 외웠다.
여기까지 파이썬 숫자형 자료형이었습니다.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나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말씀해주세요!^0^
다음 글에서는 숫자형 자료형 실습 문제를 풀어볼게요.
그럼 이만
총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