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의 코드도 구글 코랩에서 작성해보세요😀
print() 함수
괄호 안에 있는 값을 화면에 출력한다.
예시)
print("Hello World!")
Hello World!
Hello World! 라고 화면에 출력이 되었다.
print("Hello World!")를 두 번 쓰면 어떻게 될까?
print("Hello World!")
print("Hello World!")
Hello World!
Hello World!
출력된 값이 아래처럼 나오지 않고
Hello World! Hello World!
알아서 두 줄로 나온 이유는
print()함수에 엔터(줄바꿈)를 뜻하는 변수가 숨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사실은
print("Hello World!", end = '\n')
print("Hello World!", end = '\n')
Hello World!
Hello World!
였던 거다.
end = '\n'이 줄바꿈을 뜻하는 변수다.
이렇게 옵션으로 들어있는 변수를 매개 변수라고 한다.
매개 변수 end 뒤에 있는 \n을 바꿔주면 바꾼 형태대로 나온다.
print("Hello World!", end = '→')
print("Hello World!", end = '\n')
Hello World!→Hello World!
아래 코드에도 매개변수가 있다.
print("Python", "is", "too", "fun!")
Python is too fun!
Pythonistoofun! 이라고 나오지 않고 알아서 띄어쓰기가 되었다.
매개 변수 sep이 옵션 값으로 숨어 있기 때문이다.
print("Python", "is", "too", "fun!", sep='')
Pythong is too fun!
sep은 seperate이라는 뜻으로
sep=' '은 '따옴표를 기준으로 사이를 띄어라' 를 의미한다.
이 역시 sep 뒤에 있는 ' '를 바꿔주면 바꾼 형태대로 나온다.
print("Python", "is", "too", "fun!", sep='→')
Python→is→too→fun!
여기까지 print함수 기초였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문자열 자료형에 대해 작성하겠습니다.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나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말씀해주세요!^0^
그럼 이만
총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