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코랩이나 주피터 노트북에서 직접 작성하며 풀어보세요.
변수 n에 할당된 값만큼 '수박'을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하세요.
예를 들어
n = 4일 때, 값은 수박수박
n = 5일 때, 값은 수박수박수
로 나오는 코드를 작성하시면 됩니다.
슬라이싱을 활용해보세요.
n = 5
a = '수박' * n
print(a[:n])
수박수박수
n만큼 슬라이싱을 하면 n만큼만 값이 나오기 때문에
a는 '수박'을 n만큼 곱하는 것으로,
print는 n만큼 슬라이싱하는 것으로 표현하면 됩니다.
참고로 첫 번째 줄과 두 번째 줄을 바꿔서 작성하면 n이 정의되지 않았다는 에러가 뜨기 때문에 n을 먼저 정의하는 코드를 작성해주셔야 해요.
항상 코드는 변수를 정의하는 게 먼저 나와야 합니다.
다른 방법도 있어요.
n = 5
print('수박'*(n//2) + '수'*(n % 2))
수박수박수
'수박'*(n//2)
// : 나눈 몫
n이 5라면 몫은 2라서 '수박수박'이 나옵니다.
'수'*(n % 2)
% : 나눈 나머지
n이 짝수라면 나머지가 0이니까
n이 짝수라면 '수'는 추가로 붙을 수 없겠죠.
이 코드는 n이 홀수일 때만 '수'가 붙게 합니다.
혹시 다른 코드로 짜셨는데 값이 잘 나온다면 그것도 정답이에요.
코드는 사람마다 짜는 게 다르니까요.
같은 값이 나온다면 간단하고 보기 쉬울수록 좋은 코드입니다.
여기까지 문자열 자료형 실습 문제였습니다.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나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말씀해주세요!^0^
다음 시간에는 리스트 자료형에 대해 작성할게요.
그럼 이만
총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