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 : 보안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가장 시작점에 해당하는 기술
Cryptography 암호 : 중요 정보를 다른 사람들이 해석할 수 없게 하는 방법
Cryptography 암호작성술 : 암호체계를 디자인하는 것
Cryptanalysis 암호해독 : 암호를 해독하고 해당 암호체계의 보안을 분석하는 것
Cryptology 암호학 : 암호 연구, Cryptography + Cryptanalysis 어우르는 학문
복호화 : 암호문 -> 평문으로 바꾸는 정상적인 과정
Plain Text 평문 : 암호화 전 메시지, 누구나 알 수 있음
Cipher Text 암호문 : 암호화 후 메시지, 당사자들만 알 수 있음
암호화 알고리즘 : 평문 -> 암호문으로 변경하는 방식
Encryption key 암호화 키 : 허락받지 않은 외부인이 암호문을 강제적으로 해독 Cryptanalysis 할 수 없도록, 암호화나 복호화를 수행할 때 양쪽이 알고 있어야 할 수단
암호화 알고리즘은 반복해서 사용, 암호화 키는 지속적으로 변경해서 사용



시저 암호, 단일 치환 암호, 다중 치환 암호 (비즈네르 암호, 플레이페어 암호, 애니그마)스키테일 암호집합을 한번에 처리하는 암호 알고리즘1bit, 1byte의 데이터 스트림을 순차적으로 처리해가는 암호 알고리즘무결성 보장
무결성과 인증을 제공하는 암호 기술
무결성 확인, 인증, 부인방지를 위한 암호 기술비밀 알고리즘 위험
e.g ) 독자적인 알고리즘 개발은 매우 위험 <- 알고리즘 구조가 파악되면 완전 노출
약한 암호는 더 위험
모든 암호는 반드시 해독됨
- 암호화에 필요한 비용과 지키고자 하는 가치의 균형
- 좋은 암호 시스템 : 암/복호화는 쉽고 빠르게, 해독은 어렵게
암호는 보안의 작은 부분
- 사회공학공격의 취약성이 높음
- 시스템의 강도는 가장 약한 부분 강도

전치법 Transposition 알고리즘전사공격 Brute Force에 취약
전사 공격 Brute Force에 취약
전사 공격에 다소 강알파벳 대칭표가 있어야 함빈도 분석법 Frequency Analysis 에 취약 암호화 키와의 매핑에 따라 여러 가지 글자로 대체되어 암호화되는 방식26 X 26의 알파벳 대칭표 이용
암호화 키를 매핑하고 암호화, 복호화를 수행빈도 분석법을 이용하여 비즈네르 암호를 복호화 빈도 분석법 Frequency Analysis에 다소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