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Spring Framework란?

·2022년 3월 3일
1

Spring

목록 보기
2/7

📍[Spring] 프레임워크(Framework)란?


💡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는 무엇일까

앞서 프레임워크가 무엇이고 쓰는 이유를 살펴보았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란, 이전의 표에서 봤듯이 JAVA를 사용한 프레임워크이다.

Spring Framework 사전적 의미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 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서 간단히 스프링(Spring)이라고도 한다.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공기관의 웹 서비스 개발 시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의 기반 기술로서 쓰이고 있다.

📌EJB와 Spring
https://velog.io/@matcha_/Spring-EJBEnterprise-Java-Bean%EC%99%80-Spring


💡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특징


이런 이상한 삼각형이 있는데 스프링의 3대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스프링은 POJO를 기반으로 AOP, PSA, IoC/DI 특징을 가진다는 말이다.
이게 무슨말일까


POJO (Plain Old Java Object)

  • 직역하면 순수한 오래된 자바 객체
  • 프레임워크 없이도 돌아가는 순수한 자바 객체
  • 특정 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순수한 자바 객체
    (특정 기술에 종속 : 결합력 높다 -> 확장성 낮아짐 -> 객체지향의 장점 사라짐)

그냥 자바 객체 그 자체다.


AOP (Aspect Oriented Programming)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 관심사의 분리

말 그대로 프로그램을 두 가지 관점으로 바라보겠다는 뜻이다.
첫 번째 관점 : 공통되는 부분 (공통 관심사항) cross-cutting concern
두 번째 관점 : 핵심이 되는 부분 (핵심 관심사항) core concern

  • 공통 관심사항 cross-cutting concern
    : 중복되는 공통 코드 (보안, 로그, 트랜잭션 등)

  • 핵심 관심사항 core concern
    : 비즈니스 로직

공통 관심사항은 코드가 중복된다. 프록시 패턴을 사용해서 비즈니스 로직과 분리한다.
이렇게 두 가지 관심사로 분리하게 되면 개발자는 비즈니스로직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된다.


IoC (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역행

이전에는 코드 관리(Control)는 개발자의 일이었다. 객체의 생성부터 소멸까지의 라이프사이클 제어권은 개발자가 갖고있었다.

그런데 개발자가 프레임워크 API를 사용하게 되면서, 설정파일을 통해서 객체의 라이프사이클, 클래스 등을 프레임워크가 직접 제어하게 되었다.

즉, 개발자가 직접 제어하는 부분을 프레임워크가 대신 제어하게 되어 제어권을 가지게 되었다는 말이다. -> 그래서 제어의 역전이라고 한다.

DI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 종속성 주입

인턴 처음 들어왔을 때 차장님이 DI가 뭐냐고 물으셨는데 대답 못했었다ㅎ..

의존 : A 클래스에서 B 클래스에 있는 기능을 사용하는 것
(B 클래스 = 의존하는 객체)

의존하는 객체를 직접 생성(new)하지 않고,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의존하는 객체를 전달(주입) 받는 것.
쉽게 생각하면 객체 생성할 때 new 안쓰는 거

스프링 컨테이너 : 객체의 라이프사이클(생성부터 소멸까지)을 관리하는 역할
(= IoC컨테이너, BeanFactory)

  • 스프링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객체 : 빈(Bean)
  • Bean을 관리한다고 해서 BeanFactory라고도 함.
  • BeanFactory에 기능들을 추가한 것 중 애플리케이션컨텍스트(applicationContext)가 있다.

객체를 사용하려면 객체를 생성하고 인스턴스를 얻어야만 사용할 수 있다.
객체에 인스턴스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 new연산자, 인터페이스 호출, 팩토리 호출 방식이 있다. 이 일들을 스프링 컨테이너가 대신 해준다. 즉, 외부(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제어의 흐름을 관리한다는 것이다.

👉 DI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

이런 HomeService, HomeController 클래스가 있다고 치자.
HomeController에서 HomeService클래스 안의 메소드를 사용하고 싶다.
그래서 HomService객체를 생성했고, 인스턴스를 얻기 위해 new를 사용했다.
결합도 높아짐 -> 확장성 낮아짐

/*
 * HomService.java
*/
@Service
public class HomeService {
	public String sayHello() {
		return "굿모닝~!";
	}
}

/*
 * HomeController.java
*/
@Controller
public class HomeController {

	@RequestMapping(value="/index.do")
	public String MVCController(Model model) {
    
		HomeService homeService; //객체 선언 - 아직 어떠한 메모리도 차지하지 않음
        homeService = new HomeService(); //객체의 인스턴스를 얻음 - 메모리 할당됨
 		model.addAttribute("homeService",homeService.sayHello());	
		return "index";
	}
}

그래서 스프링은 이런 기능을 내놓았다.

👉 DI를 적용했을 때

객체의 인스턴스를 얻기 위해 new를 사용하지 않고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사용했다.

@Autowired : 스프링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Bean들 중에 @Autowired로 선언한 객체와 동일한 Bean이 있으면 의존관계를 주입해줌.
해당 객체가 Bean으로 등록되지 않았다면 주입 불가

/*
 * HomService.java
*/
@Service
public class HomeService {
	public String sayHello() {
		return "굿모닝~!";
	}
}

/*
 * HomeController.java
*/
@Controller
public class HomeController {

	@RequestMapping(value="/index.do")
	public String MVCController(Model model) {
    	
        @Autowired //어노테이션 추가 - 인스턴스 얻음
		HomeService homeService; //객체 선언 - 아직 어떠한 메모리도 차지하지 않음
 		model.addAttribute("homeService",homeService.sayHello());	
		return "index";
	}
}

PSA (Portable Service Abstraction) 일관성 있는 추상화

스프링 라이브러리는 POJO를 쓰기 위해서 PSA 형태로 추상화 되어있다.
POJO를 사용하면서 다른 기능을 쓰기 위해서 중간 역할을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건바로..

  • 어노테이션 (annotation)
    • 서블릿 기반으로 동작
    • 추상화 계층에 숨겨져있음
    • 어노테이션만 선언하면 내부적으로 다 동작이 되도록 추상화되어있음.
    • doGet(), doPost()나 extends, implements 등등을 없애고 대신 어노테이션을 사용.

내용 추가 중🍕
📌참고
https://dev-coco.tistory.com/83
https://steady-coding.tistory.com/459
https://steady-coding.tistory.com/459

profile
https://k-ang.tistory.com/ 이전했어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