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세푸스 문제는 다음과 같다.
1번부터 N번까지 N명의 사람이 원을 이루면서 앉아있고, 양의 정수 K(≤ N)가 주어진다. 이제 순서대로 K번째 사람을 제거한다. 한 사람이 제거되면 남은 사람들로 이루어진 원을 따라 이 과정을 계속해 나간다. 이 과정은 N명의 사람이 모두 제거될 때까지 계속된다. 원에서 사람들이 제거되는 순서를 (N, K)-요세푸스 순열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7, 3)-요세푸스 순열은 <3, 6, 2, 7, 5, 1, 4>이다.
N과 K가 주어지면 (N, K)-요세푸스 순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예시
7 3
출력 예시
<3, 6, 2, 7, 5, 1, 4>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k = map(int,input().split())
queue1 = deque()
output = []
for i in range(1,n+1):
queue1.append(i)
while len(queue1) != 0:
for _ in range(k-1):
queue1.append(queue1.popleft())
output.append(queue1.popleft())
print('<%s>' %', '.join(map(str, output)))
처음 문제를 접하고 문제 이해에도 시간이 걸렸는데 이해하고나서는 어떻게 구현해야할지 안 떠올랐다ㅋㅋㅋ
자료구조 문제 모음에 있으니 스택이나 큐를 써서 풀어야 할거 같긴한데 딱히 떠오르지도 않고..
배열에 끝에 다다르면 배열의 시작으로 다시 되돌아 오는걸 생각했었는데 구현이 잘 안됐다.
이번엔 30분 지나자마자 바로 풀이를 검색했다.
https://youjin86.tistory.com/18
이 분의 풀이를 살펴보았는데 deque() 의 rotate() 메소드를 이용했다.
https://leonkong.cc/posts/python-deque.html
deque 설명은 위 블로그를 참조했다.
deque은 double-ended queue의 약자라고한다.
양방향 큐라는 의미이고, 스택과 큐가 합쳐졌다고 볼 수 있다.
rotate() 메소드는 deque을 회전을 시킨다고 하는데
회전초밥을 위에서 본 모양인거 같기도하고
예시를 보면 뭔지 알것 같긴한데 말로 설명은 못하겠다ㅋㅋ
rotate()를 제대로 이해도 못했는데 쓰긴 싫었는데
rotate() 설명을 보다가 내가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 떠올라서 다시 풀이에 도전했다.
아이디어 : 큐 자료구조, popleft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k = map(int,input().split())
queue1 = deque()
output = [] # 제거되는 숫자를 담을 리스트이다.
for i in range(1,n+1): # 1부터 n까지의 숫자를 큐에 담는다.
queue1.append(i)
while len(queue1) != 0: # 큐에 남은 값이 없으면 반복문을 종료한다.
for _ in range(k-1):
queue1.append(queue1.popleft()) # 가장 왼쪽에 있는 값 하나를 떼와서 맨 뒤에 붙인다!
# 제거할 순번이 오기 '전' 까지 반복한다.
output.append(queue1.popleft()) # 제거할 순번이 오면 큐의 가장 왼쪽 값 하나를 떼와서 출력할 리스트에 붙인다!
print('<%s>' %', '.join(map(str, output)))
2트째엔 22분이 걸렸다.
마지막 print()는 <>사이에 ,로 값들을 구분지어서 출력 돼야하는데
나말고 어려움을 가진사람들이 되려 있었다.
정답..! 이긴한데 이 문제는 제한시간이 2000ms이다..
근데 왜 통과가 되나 싶었는데
알고보니 파이썬은 실행속도가 느려서 따로 제한이 없는 문제에서는
시간 보너스를 받아 파이썬의 제한시간은 (명시된 시간*3+2)초가 된다고 한다.
그럼에도 다른 사람들 풀이보다 한참 오래걸리기에
나중에 다른방법을 알게되면 다시 풀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