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20231031

Xtraa·2023년 10월 31일
0

TIL

목록 보기
10/99

공부한 내용

1. Gradle

  • Gradle은 빌드 자동화 시스템입니다.
    • 우리가 작성한 Java 코드를 설정에 맞게 자동으로 Build해 줍니다.
      • Build란 소스 코드를 실행 가능한 결과물로 만드는 일련의 과정을 뜻합니다.
      • Gradle을 사용하면 간편하게 Java 소스 코드를 실행한 가능한 jar 파일로 만들어줍니다.

2. 웹 동작방식 이해하기

  • IP 주소
    • 네트워크상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은 이 주소를 기준으로 이루어짐
  • 브라우저
    • 컨텐츠(웹페이지, 이미지, 비디오 등)를 송/수신, 표현
    • 상호작용해서 요청을 보내는 응용프로그래밍 계층의 첫 출발점
  • DNS(Domain Name Server)
  • 서버로 요청을 보낸다면
  • HTTP
    • 데이터를 주고 받는 양식을 정의한 "통신 규약"중 하나
    • 통신 규약이란,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을때 정해둔 약속
    • Method (호출/요청 방식)
    • Header (추가 데이터. 메타 데이터)
    • Payload (데이터. 실제 데이터)
  • 드디어 요청이 서버에 도달
    •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다른 소프트웨어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해 따라야 하는 규칙을 정의
    • 인터페이스(interface)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시스템, 장치 사이에서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는 경우의 접점이나 경계면
  • RESTful API
    •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REST)는 API 작동 방식에 대한 조건을 부과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 서버의 api가 적절하게 http를 준수하며 잘 설계되어있으면 RESTful 하게 설계되어 있다
  •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자료들

2. SpringBoot 및 서버 이해

  •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 문제를 나누자
    • “새로운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 / New data
    • “서비스 로직을 처리하는 부분” / Service logic
    • “기존의 데이터를 이용하는 부분 / Old data
  • 레이어드 아키텍처 패턴
    • Presentation 계층
    • Domain(Business or Service) 계층
    • Data Access(Persistence) 계층
  • Controller, Servie, Respository 예시 코드

하루를 돌아보며, TMI

이..이게 뭐고...

profile
https://xtraa.notion.site/Xtraa-ed48ac432d354d01b5bf5b0da5ec94a9?pvs=4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