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화살표 함수

hye0n.gyu·2024년 7월 21일
0

JS

목록 보기
5/13
post-thumbnail

⭐ 화살표 함수

화살표 함수(Arrow function) 또는 화살표 함수 표현식(Arrow function expressions) 은 함수 표현식이다.

const add = (x,y) => {return x + y}

add(3,1) //4

✔ 축약

화살표 함수는 {}()로 바꾸고 return을 생략하며 암시적 반환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아예 괄호를 없애 암시적 반환을 만들 수도 있다.

단, 표현식이 하나만 있어야 활용할 수 있다.

입력 부분의 ()도 만약 매개 변수가 1개라면 생략이 가능하다.

예시

const isEven = function (num) {
  return num % 2 === 0;
}

const isEven = (num) => {
  return num % 2 === 0;
}

const isEven = num => { // 입력부분 괄호 생략
  return num % 2 === 0;
}

const isEven = num => ( // 출력부분 암시적 반환 활용
  num % 2 === 0;
)

const isEven = num => num % 2 === 0; // 입력부분 괄호 생략 및 출력부분 암시적 반환 활용

✔ 화살표 함수의 제한점

  • this, argumentssuper에 대한 자체 바인딩이 없고, 메서드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 new.target 키워드가 없다.
  • 일반적으로 스코프를 지정할 때 사용하는 call(), apply(), bind() 메서드를 이용할 수 없다.
  • 생성자(Constructor)로 사용할 수 없다.
  • yield를 화살표 함수 내부에서 사용할 수 없다.

화살표 함수에서 this를 사용하면 전역 객체를 참조하고 있기때문에 이러한 제한점들이 생긴다.

이러한 제한점들이 있기 때문에 인수에 접근해야 한다면 일반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
반려묘 하루 velo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