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 / 수신 측 간의 전송 경로 중에서 최적 패킷 교환 경로를 결정하는 기능
(최적 패킷 경로 : 최저 비용으로 최단시간에 송신할 수 있는 경로)
경로 제어표(Routing Table)를 참조해서 이루어짐
라우터에 의해 수행됨
경로 제어 요소
성능 기준
경로의 결정 시간과 장소
정보 발생지
경로 정보의 갱신 시간
하나의 자율 시스템(AS) 내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자율 시스템 : 하나의 도메인에 속하는 라우터들의 집합)
+) 하나의 자율 시스템에 속한다 = 하나의 도메인에 속한다
자율 시스템(AS) 간 라우팅
⇒ 게이트웨이 간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자율 시스템(AS) 간 라우팅 프로토콜
EGP의 단점 보완 위해 만들어짐
초기에 라우터들이 연결될 때는 전체 경로 제어표 교환 → 이후 변화된 정보만 교환
전송되는 패킷의 흐름 또는 그 양을 조절하는 기능
(네트워크 보호, 성능 유지,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흐름 제어
폭주 제어
교착상태 방지
송 / 수신 측 사이에 전송되는 패킷의 양이나 속도 규제
(네트워크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수신측의 확인 신호(ACK)를 받은 후에 다음 패킷 전송
한 번에 하나의 패킷만 전송 가능
확인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 데이터의 양을 조절하는 방식
확인 신호를 받지 않아도 미리 정해진 패킷의 수 만큼 연속적으로 전송
⇒ 전송 효율 좋음
송신 측은 수신 측으로부터 확인 신호 없이도 전송 가능한 최대치를 미리 약속받음
⇒ 최대치 : 윈도우 크기(Window Size)
윈도우 크기는 상황에 따라 변함
네트워크 내의 패킷 수 조절
⇒ 네트워크의 오버플로 방지 기능
윈도우 크기를 1, 2, 4, 8 ... 과 같이 2배씩 지수적으로 증가
⇒ 초기엔 느리지만 빨라짐
전송 데이터의 크기가 임계 값에 도달하면 혼잡 회피 단계로 넘어감
임계값에 도달하면 혼잡으로 간주
회피를 위해 윈도우의 크기를 1씩 선형적으로 증가시켜 혼잡 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