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데이터베이스 개요

민성·2022년 3월 29일
0
post-thumbnail

1. 데이터저장소

데이터들을 논리적인 구조로 조직화하거나, 물리적인 공간에 구축한 것

  1. 논리 데이터저장소
  • 데이터 간의 연관성, 제약조건을 식별하여 논리적인 구조로 조직화 한 것
  1. 물리 데이터저장소
  • 논리 데이터저장소를 소프트웨어가 운용될 환경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실제 저장장치에 저장한 것

2. 데이터베이스

공동으로 사용될 데이터를 중복을 배제하여 통합하고, 저장장치에 저장
⇒ 항상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운영 데이터

  1. 통합된 데이터 (Integrated Data) : 자료의 중복을 배제한 데이터의 모임

  2. 저장된 데이터 (Stored Data) :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자료

  3. 운영 데이터 (Operational Data) : 조직의 고유한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료 (임시자료는 취급 X)

  4. 공용 데이터 (Shared Data) : 응용 시스템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유지하는 자료

3.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보 생성,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주는 소프트웨어
  • 기존의 파일 시스템이 갖는 데이터의 종속성과 중복성의 문제 해결을 위해

3-1. DBMS의 필수 기능 3가지

  1. 정의 (Definition) : 데이터의 형(type), 구조에 대한 정의, 이용 방식, 제약 조건 등을 명시

  2. 조작 (Manipulation) : 데이터 검색, 갱신, 신입, 삭제 등을 위해 인터페이스 수단 제공

  3. 제어 (Control) : 데이터의 무결성, 보안, 권한 검사, 병행 제어 제공

4. 데이터의 독립성

종속성에 대비되는 말로, 두가지가 있다.

  1. 논리적 독립성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독립시킴으로써,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를 변경시켜도 응용 프로그램은 영향 X

  2. 물리적 독립성
    물리적 장치(응용 프로그램, 보조 기억장치 등)를 독립시킴으로써, 디스크를 추가/변경 하더라도 응용 프로그램은 영향 X

5. 스키마(Schema)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것

  1. 외부 스키마
  •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 정의

  1. 개념 스키마
  •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논리적 구조
  • 모든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종합한 조직 전체의 데이터베이스
  • 하나만 존재함

  1. 내부 스키마
  • 물리적 저장장치의 입장에서 본 데이터베이스 구조
  • 실제로 저장될 레코드 형식, 저장 데이터 항목 표현 방법, 내부 레코드의 물리적 순서 등을 나타냄
profile
mdalss0113@gmail.com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