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인터넷

민성·2022년 4월 2일
0
post-thumbnail

1. 인터넷

  •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전 세계 컴퓨터와 네트워크들이 연결된 광범위한 컴퓨터 통신망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는 고유한 IP주소를 가짐


2.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

  • 8비트씩 4부분
    ⇒ 총 32비트로 구성

  • 네트워크 부분의 길이에 따라 A ~ E 클래스까지 있음

  1. A : 0 ~ 127 (0과 127은 예약된 주소이므로 실질적 주소는 1 ~ 126)

  2. B : 128 ~ 191

  3. C : 192 ~ 223

  4. D : 멀티캐스트용으로 사용

  5. E : 공용 X


3. 서브네팅(Subnetting)

  • 할당된 네트워크 주소를 다시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

  • 서브넷 마스크
    ⇒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한 비트

  • 서브넷 마스크를 변경하여 네트워크 주소를 여러 개로 분할하여 사용

  • 서브넷 마스크는 각 클래스마다 다르게 사용

+) Subnet-Zero
서브넷 부분이 모두 0인 192.168.1.0은 사용하지 않았는데, IP 주소가 부족해지면서 모두 0인 주소도 사용한다는 뜻


4. IPv6

  • IPv4의 주소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 128비트 긴 주소 사용

  • 전송 속도 빠름

  • 보안 문제 해결 가능 (인증성, 기밀성, 데이터 무결성의 지원으로)

  • 실시간 흐름 제어
    ⇒ 향상된 멀티미디어 기능 지원

  • 패킷 크기에 제한 X (패킷 크기 확장 가능해서)

  • 네트워크 확장 용이 (기본 헤더 뒤에 확장 헤더 더함)

  • IPv4랑 호환성 높음


5. IPv6의 구성

  • 16비트씩 8부분
    ⇒ 총 128비트

  • 각 부분을 16진수로 표현, 콜론( : )으로 구분

  • 3가지 주소 체계

  1. 유니캐스트 (Unicast)
    단일 송신자와 단일 수신자 간 통신 (1 : 1)

  2. 멀티캐스트 (Multicast)
    단일 송신자와 다중 수신자 간 통신 (1 : N)

  3. 애니캐스트 (Anycast)
    단일 송신자와 가장 가까이 있는 단일 수신자 간 통신 (1 : 1)


6. 도메인 네임(Domain Name)

  • 숫자로 된 IP 주소를 문자 형태로 표현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 수록 상위 도메인

  • DNS : 문자로 된 도메인 네임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

  • DNS 서버 : 위의 역할을 하는 서버

profile
mdalss0113@gmail.com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