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형 수 자료형은 코딩 테스트에서 가장 기본적인 자료형임 실제로 코딩테스트에서도 대부분의 경우 정수형을 다루는 문제가 많이 출제 정수형 Integer 정수형은 정수를 다루는 자료형이며 정수형에는 양의 정수, 음의 정수 , 0이 있다. 실수형 Rea
* 소수의 판별 소수? => 2보다 큰 자연수 중에서 1과 자기 자신을 제외한 자연수로는 나누어떨어지지 않는 자연수이다. => X를 2부터 X-1까지의 모든 수로 나누어보는것이다. 만약 2부터 X-1가지의 모든 자연수가 나누었을 때 나누어떨어지는 수가 하나라도 존재
정렬이란? => 데이터를 특정한 기준에 따라서 순서대로 나열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가공할 때 오름차순이나 내림차순 등 대부분 어떤 식으로든 정렬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에 정렬 알고리즘은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많이 사용되는 알고리즘 중 하나다. 정렬 알고리즘으로 데이터를
코딩 테스트에서 구현이란?=> "머릿속에 있는 알고리즘을 소스코드로 바꾸는 과정" 어떤 문제를 풀든 간에 소스코드를 작성하는 과정을 필수 이므로 구현 문제 유형은 모든 범위의 코딩테스트 문제 유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흔히 문제 해결 분야에서 구현 유형의 문제는 '풀이를
꼭 필요한 자료구조 기초 탐색이란?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을 의미. 프로그래밍에서는 그래프, 트리 등의 자료구조 안에서 탐색을 하는 문제를 자주 다룬다. 대표적인 탐색 알고리즘으로 DFS와 BFS를 꼽을 수 있음. 그런데 이 2개를 이해
최단 경로 : 말 그대로 가장 짧은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이다. 그래서 "길 찾기" 문제라고도 불린다. 최단 경로 문제는 보통 그래프를 이용해 표햔하는데 각 지점은 그래프에서 "노드"로 표현되고, 지점간 연결되 도로는 그래프에서 "간선"으로 표현된다.실제 코딩 테스트에서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중복되는 연산을 줄이자 메모리 공간을 약간 더 사용하면 연산속도를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 바로 다프 동적 계획법이라고도 한다. cf) 프로그래밍에서 다이나믹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도중에"라는 뜻 ex) 자료구조에서 "동적할당"
단순하지만 강력한 문제 해결 방법.=> 현재 상황에서 지금 당장 좋은 것만 고르는 방법매 순간 가장 좋아하 보이는 것을 선택하며, 현재의 선택이 나중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는다.코테에서 만나게 될 그리디 알고리즘의 문제 유형은 앞으로 다루게 될 알고리즘과
리스트 안에 있는 특정한 데이터를 찾기 위해 앞에서부터 데이터를 하나씩 차례대로 확인하는 방법보통 정렬되지 않은 리스트에서 데이터를 찾아야 할 때 사용한다.리스트 내에 데이터가 아무리 많아도 시간만 충분하다면 항상 원하는 원소(데이터)를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수학에서 서로소 집합이란 공통 원소가 없는 두 집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집합{1,2}와 집합{3,4}는 서로 관계이다. 반면에 집합 {1,2}와 집합{2,3}은 2라는 원소가 두 집합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소 관계가 아니다. 서로소 집합 자료구조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