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인되지 않은 액세스나 오용, 오동작, 수정, 파괴, 부적절한 노출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프로세스사용자의 신원을 검증하는 프로세스| 인증 방식 | 내용 |
|---|---|
| 비밀번호 | 사용자가 데이터를 올바르게 입력하면 시스템은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하고 액세스를 허용함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인증 요소) |
| 일회용 핀 | 단일 세션이나 트랙잭션에 한하여 액세스를 허용함 |
| 인증 앱 | 액세스를 허용하는 외부 기관을 통해 보안 코드를 생성함 ex.휴대폰 인증서 |
| 생체 인식 | 사용자가 시스템에 액세스 하기 위해 지문이나 망막 스캔을 제출함 ex.Face ID, 지문 인식 |
접근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구분 | 인증 | 인가 |
|---|---|---|
| 사용자가 볼 수 있는가? | O | X |
|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는가? | 부분적으로 가능 | 불가능 |
| 데이터 전송 | ID 토큰 가능 | 액세스 토큰 사용 |
Hash
| 내용 | |
|---|---|
| 해시 | 단방향 암호화 기법으로 해시함수를 이용하여 고정된 길이의 암호화된 문자열로 바꿔버리는 것 |
| 해시함수 |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 |
| 해시값 | 매핑 후 데이터의 값 |
| 키 | 매핑 전 데이터의 값 |
| 해싱 | 매핑하는 과정 |
단방향 암호화충돌 저항성제1 역상 저항성 : 해시값을 통해서 입력값을 찾기 어려움제2 역상 저항성 : 특정 입력값과 같은 해시값을 반환하는 또 다른 입력값을 찾기 어려움충돌 저항성과 제2 역상 저항성은 비슷해보이지만 다르다. 충돌 저항성은 암호값이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충돌을 일으킬 수 있는 두 개의 입력값을 찾는 것이고, 제2 역상 저항성은 한 개의 입력값을 이미 알고 있는 상태에서 그 입력값과 같은 해시값을 반환하는 또 다른 입력값을 찾는 것이다.Scale-out에도 크게 이슈가 없음로컬 네트워크 내부에서 접속한 호스트의 IP 대역을 외부 네트워크와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수단
서브넷
- 하나의 네트워크가 분할되어 나눠진 작은 네트워크
서브넷팅
- 네트워크를 분할하는 것
오버헤드 등 서버에 부하를 줄 수 있음암호화 데이터| 유형 | 내용 |
|---|---|
| 연결형 | 키, 디스크, 드라이브 및 기타 물리적 장치가 시스템에 연결되어 액세스를 허용함 ex) USB 디바이스, 스마트 카드 |
| 비접촉형 | 디바이스가 서버와 통신하려면 거리가 충분히 가까워야 하지만 연결을 할 필요는 없음 ex) Microsoft의 매직 링 |
| 분리형 |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와 접촉하지 않고도 먼 거리에서 서버와 통신할 수 있음 ex)이중 요소 인증 프로세스 |

엔티티 사이에서 매우 빠르게 전달됨
정말 깔끔하게 정리하시네용! 과연... 띄어쓰기 줄 바꿈 하나하나에 지성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