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session)

룰루팍 Lolo Park ·2022년 12월 19일
0

AWS

목록 보기
1/5
  1. 운영 서버란 무엇이고 운영 서버의 아키텍쳐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 설명할 수 있습니다.
  2.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습니다.
  3. 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설명할 수 있습니다.
  4. AWS란 무엇인지, 어떠한 특징이 있고 글로벌 인프라가 어떻게 구축되어 있는지 설명할 수 있습니다.
  5. AWS의 주요 서비스와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운영 서버와 아키텍쳐

Production Server
실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하는 서버(개발이나 테스트 목적이 아닌)

세,네번째가 흔함

1. 단일 서버

2. 어플리케이션/데이터베이스 서버 분리 구조

  • application과 DB를 각각의 서버로 구성
  • 여러 IP로 들어오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application이 먼저 받는다 -> 보안 good
  • 두개의 서버를 관리해서 구성이 복잡
  • 어플리케이션과 DB서버 사이의 지연시간/네트워크 보안을 고려해야함

3. ★ 서버 단위의 로드 밸런서 load balancer(중간서버) 구조

  • load balancer 하나의 서버에서 10만개의 트래픽을 감당할 수 없으니, 중간에서 로드 밸런서가 여러 서버로 알아서 분산시켜줌
  • 로드 밸런서 서버를 통해 그 뒤에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둔다
  • 확장에 용이, 하나의 서버에 장애 발생 시 정상 서버에 요청을 넘기며
    서비스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다.
  • 구성이 매우 복잡
  • load balancer 서버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 서버에 영향

4. ★서버 내 앱 단위의 load balancer 구조

  • 클라이언트 요청을 받는 load balancer
  • 서버 내에 load balancer
  • 기존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안에 똑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여러 프로세스로 만들어 실행
  •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 요청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음

온프레미스 (On-premise)

premise :

  • 물리적인 서버를 직접 구축하여 운영하는 방식
  • 기업이 직접 하드웨어를 구입/대여해야함
  • 예측과 달라지면 불필요한 비용이 사용될 수 있다
    (설계했을 때와 배포했을 때 상황이 달라질 수 있음!)
  • 서버 확장이 필요 할 때 제약 사항이 많다
    예) 맥북을 하나 더 사서 서버를 구축하고 싶을 때, 모든 걸 다 새로 깔아줘야함
  • 지속적 모니터링 24/7 필요
  • 천재 지변에 대응하기 어려움 (불나거나 날라가버리면)

Compute

  • CPU, RAM, storage, Network 기능으로 구성된 물리적인 서버

Cloud Computing

  • 내가 사용하고 싶을 때 클릭하면 바로 가상의 instance를 할당받아 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는 것 (서버!)
  • 인터넷을 통해 On-demand로 컴퓨팅 자원을 제공받을 수 있고
  • 사용한 만큼!의 비용만 지불할 수 있다
  • scale-up (고사양화하며 업그레이드)
    scale-out (똑같은 사양을 여러대)자유롭게 가능
  • 다양한 리전을 통한 글로벌 확장이 용이
  1. IaaS 인프라스트럭쳐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클라우드 컴퓨팅의 가장 기본적인 계층
  • 서버,스토리지,네트워킹 등의 리소스 제공
  • 사용자가 직접 구성, 관리 가능(첨부터 끝까지 내가 직접 구성/관리)
  • AWS EC2, Microsoft Azure Virtual Machines,
    Google Compute Engine...
  1. PaaS 플랫폼 (Platform as a Service)
  • 이미 구축된 환경에서 개발 IaaS보다 자유도가 낮음
  • 인프라 운영 인력이 필요하지 않음(개발자는 소스코드나 비지니스 로직만 넣으면 된다 )
  • 여러 개발 환경을 미리 구축하고 그것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것
  • AWS Elastic Beanstalk, Heroku, Redhat OpenShift..

3.SaaS 소프트웨어 (Software as a Service)

  • 가장 완성된 형태의 서비스
  • 기본적인 클라우드 인프라와 소프트웨어를 함께 제공
  •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버그 픽스 등을 업체가 도맡아 관리
  • 사용자가 필요하지 않은 기능도 비용을 지불
  • Google Drive, iCloud, Slack, Zoom, Dropbox, Netflix
    예) Netflix 나는 종이의집만 보고 싶은데도 불구하고 netflix 전체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지불해야하는 것과 같다.

  1. 운영 서버는 개발이나 테스트 목적이 아닌 실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하는 서버를 말합니다.
  2. 운영 서버의 아키텍쳐로는 크게 단일 서버, 애플리케이션 / 데이터베이스 서버 분리, 서버 단위 로드 밸런서, 서버 내 앱 단위 로드밸런서의 네가지로 분류 할 수 있습니다.
  3. 이러한 운영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자체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는 방법(On-premise)과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환경에 만드는 방법(Cloud Computing)이 있습니다.
  4. 온프레미스란 IT 서비스를 기업이 자체적으로 보유한 물리적인 서버에 직접 설치해 운영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5.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IT 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온디맨드로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
Korean-Arabic Translator, Backend Developer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