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문용] 네트워크와 인터넷 개념 설명! 인터넷 동작 방식도 설명! ISP도 설명! 전체 큰 그림을 그리기에 딱 좋은 영상이죠 👍

KIM YONG GU·2023년 10월 15일
0

쉬운코드

목록 보기
8/18
post-thumbnail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컴퓨터나 기타 기기들이 리소스를 공유하거나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통신 체계.

1. IP주소

인터넷에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인터넷 상의 주소

2. 모뎀(model)

네트워크 통신에 필요한 장비

3. 공유기(home routher)

  • 여러 기기들을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 하나의 IP 주소로도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
  • 공유기에 연결된 기기들은 같은 네트워크 소속.

4. 스위치(switch)

  • 같은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 보통 공유기의 랜(LAN) 포트 수가 부족할 때 사용.
  • 스위칭 허브 혹은 그냥 허브라고도 불림.

5. LAN(Local Area Network)

  • 유선통신(Ethernet) + 무선통신(Wi-Fi)
  • 집, 학교, 회사 건물 등 제한된 범위 내에서 컴퓨터나 기타 기기들을 연결해서 데이터나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6. WAN(Wide Area Network)

  • 여러 LAN이나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들을 하나로 묶어서 멀리 떨어진 기기들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만든 네트워크
  • 훨씬 더 넓은 범위를 커버하는 네트워크
  • e.g) 은행의 ATM, wireless WAN, Internet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세계에서 가장 큰 WAN, 글로벌 네트워크.
  • 수많은 ISP의 집합이라고 볼 수도 있다.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 일반 사용자나 회사, 기관 등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존재
  • 역할과 규모에 따라 Tier가 나뉜다.

Tier 1 ISP

  • 국제 범위의 네트워크 보유
  • 인터넷의 모든 네트워크 접근 가능
  • 인터넷 중추 역할(backone)
  • 트래픽 전송 비용 없음

Tier 2 ISP

  • 국가/지방 범위 네트워크 보유 (SKT, KT, LGU+)
  • 일반 사용자나 기업 대상 서비스
  • 인터넷의 모든 영역에 연결되기 위해 Tier 1 ISP에 비용을 내고 트래픽 전송 (망중립성 이슈)

Tier 3 ISP

  • 작은 지역 범위 서비스 제공
  • 일반 사용자나 기업 대상 서비스
  • 상위 ISPs에게 비용을 내고 인터넷 트래픽을 구매해서 이를 통해 서비스

ISP 네트워크 간의 연결

라우터(router)는 목적하는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는 장치임

인터넷 동작방식

인터넷이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모습

노드(Node)

  • 네트워크를 이루는 장치(device)

end System, 호스트(Host)

  • 네트워크의 끝에 있는 노드
  •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위해 연결된 노드
  •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나뉨

클라이언트(Client)

  • 다른 호스트의 데이터나 리소스를 요청하는 호스트

서버(Server)

  • 다른 호스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트
  • 요청에 따라 데이터나 리소스를 제공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profile
Engineer, Look Beyond the Code.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