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s Go javascript (#1)

박호연·2021년 9월 24일
0

렛츠고 자바스크립트 본문내용 정리

문자열을 정수로 바꾼다 - parseInt(‘3.14’); - 3 정수로 바꾸는 것이기 때문에 3.14 같은 소수자리까지 간 수는 3으로 대체된다.

문자열을 실수로 바꾼다 - parseFloat(‘3.14’) - 3.14

이진법으로 계산 - parseInt(111, 10); - 111 111을 이진법 10으로 계산한 값 1 +10 + 100 = 111

NaN 은 Not a Number 의 약자 하지만 typeof NaN 하면 number 을 출력한다. 모순이지만 자바스크립트에서 그렇게 정했기에 외워야한다.

Boolean - true and false

  1. True 는 false 보다 높은값이다 (true = 1, false = 0)
  2. ==, === 의 차이는 자료형까지 비교하냐 안하냐이다. 문자열 ‘1’ 숫자 1 같이 값이 같다면 == “문자열” ‘1’만 비교하고싶을땐 ===
  3. 연산자 && | | = &&는 ‘그리고’ | | 는 ‘또는’을 의미한다. 이때 중요한점은 둘중에 하나만 참일땐 결과가 참이지만 거짓임을 나타내고싶다면 둘다 ‘false’로 입력해야한다.
  4. 빈 값 사용하기 
undefined 와 null 
undefined 는 반환할 결과값이 없을때 출력된다. 그러나 ‘false’, ‘0’, ‘ ’와 같지 않다. 이 값들처럼 없는 값이나 거짓인값이 아니다.
null 는 빈 값이라는 점에서 위의 undefined와 같지만, typeof 를 출력했을때 null 이 아닌 object 를 출력한다. 이는 자바스크립트의 유명한 버그중 하나이다. Undefined 는 기본값이라는 의미라도 있지만 null은 아무런 역할이없다. 값이 null인지 확인하는 유일한 방법은 ===null이 전부이다.

변수

변수를 만드는 방법 let, const, var 이다.

Const - 상수의 줄임말이다. 변수와 상수의 차이점은 뭘까? 변수는 변하는 수 상수는 변하지 않는 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const는 변수라는 카테고리에 들어간다. 엄밀히 말하면 const 는 상수가 아니기 때문이다. const는 객체의 내부 값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Const 의 장점은 상수로 만들어서 수정되지 않음이 보장되기 때문에 더 안전하게 코딩할 수 있다는 점이다.

Swith 문

If 문과 swith문은 조건이 충족되면 실행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swith문의 기본형식이 if문과 구조가 다르다
예를들어 , swith (value) { case ‘A’ : console.log(‘A’);} 라는 swith문이 있으면 case 를 여러개 늘릴수있고 일치하는 모든 case를 출력한다. 따라서 원하는 결과만 얻으려면 break문으로 빠져나와야한다.
“Break”
swith (value) { case ‘A’ : console.log(‘A’); break;}

if문의 else 와 같은역할을 하는 default 라는 특수한 예약어가 있는데 그 기능또한 같다. case에 일치하지 않으면 default 값을 출력한다.

조건부 연산자 사용하기

If 문과 switch문 외에도 분기처리에 사용하는 식

이를 조건부 연산자 또는 삼항 연산자라고 말한다.

기본형식은 조건식 + ? 일때 사용되는 식 ‘참입니다’ : 일때 사용되는 식 ‘거짓입니다’

함수 (function)

함수의 형식 1. function() {}, 2.() => {}

function a() { } - 함수를 상수에 대입하지 않고 function 키워드에 이름을 넣는 방식을 함수 선언문이라고 한다.

const b = function() { };
const c = () => { };

  • 함수를 상수나 변수에 대입하는 방식을 함수 표현식이라고 한다.
    변수와 마찬가지로 함수를 만드는 행위도 ‘선언한다’ 로 정의한다.
profile
주니어 개발자 박호연입니다.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