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 웹 개발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테스트하고, 배포(릴리즈)하여 운영하는 과정을 반복합니다. 이 과정에서 자동화를 활용하면 배포 속도와 안정성이 향상됩니다.
자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은 보통 다음 과정을 거칩니다.
javac 컴파일러, Maven 또는 Gradle을 사용하여 .war 또는 .jar 파일 생성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빌드(Build) → 테스트(Test) → 운영(Deploy)를 자동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실현하는 것이 CI/CD (지속적 통합/배포) 입니다.
새로운 코드가 추가될 때마다 자동으로 빌드 및 테스트를 수행하여 오류를 빠르게 감지하는 시스템
- 코드가 변경되면 자동으로 빌드 후, 테스트 실행
- 대표적인 CI 도구: Jenkins, GitHub Actions, GitLab CI/CD, Travis CI
새로운 코드가 테스트를 통과하면 자동으로 배포(릴리즈) 및 운영 환경에 반영하는 시스템
- 빌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운영 서버에 배포 (예: AWS, Docker, Kubernetes)
- 배포 후에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및 운영 자동화 수행
CI/CD를 이용한 자동 배포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git push를 하면 새로운 코드가 원격 저장소(GitHub, GitLab, Bitbucket)에 업로드됨.war 또는 .jar 파일을 생성.jar 또는 .war 파일을 운영 서버에 배포자바 웹 애플리케이션 자동화에 사용되는 기술 스택 예시:
| 단계 | 사용 기술 |
| 개발 | Java, Spring Boot, Spring MVC, JSP, Servlet |
| 빌드 | Maven, Gradle |
| 테스트 | JUnit, Mockito, Selenium |
| CI/CD | Jenkins, GitHub Actions, GitLab CI/CD, Travis CI |
| 배포 | Docker, Kubernetes, AWS Elastic Beanstalk |
| 운영 모니터링 | Grafana, Prometheus, ELK Stack (Elasticsearch, Logstash, Kibana) |
다음은 Jenkins를 이용하여 Java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배포하는 예제입니다.
Jenkinsfile 작성 (CI/CD 파이프라인 설정)pipeline {
agent any
stages {
stage('Checkout') {
steps {
git 'https://github.com/your-repo/java-web-app.git'
}
}
stage('Build') {
steps {
sh './mvnw clean package'
}
}
stage('Test') {
steps {
sh './mvnw test'
}
}
stage('Deploy') {
steps {
sh 'scp target/*.jar user@server:/home/user/deploy/'
sh 'ssh user@server "nohup java -jar /home/user/deploy/app.jar &"'
}
}
}
}
✅ 설명
Checkout → Git에서 코드 가져오기Build → Maven으로 프로젝트 빌드Test → 자동 테스트 실행Deploy → 운영 서버에 배포 및 실행📌 즉, "자바 웹 개발 = 빌드 + 테스트 + 자동 운영(CI/CD)"을 통한 지속적 개선과 자동화를 포함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