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기존에 사용하던 사이트들의 이름은 원래 IP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사이트 | IP |
---|---|
네이버 | 223.130.195.200 |
구글 | 172.217.175.110 |
실제로 위 표의 IP를 URL 입력 창에 넣고 이동하면 네이버와 구글에 이동이 가능합니다.
웹 서버가 있는것처럼 DNS를 이용하여 도메인을 연결할려면 DNS 서버가 필요합니다. DNS 서버를 만들어 서버 구성을 다 완료하고 만들어진 DNS 서버의 아이피와 도메인 연결 사이트를 이용하여 DNS 호스트를 연결해줘야만 도메인 이름으로 접속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할 필요없이 GCP의 cloud dns를 사용하면 레코드 값만 등록하여 도메인 이름으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이름 | 설명 |
---|---|
DNS 이름 | www.naver.com과 naver.com으로 접속 가능하게 'www',' ' 접속 가능한 접두사를 추가해줘야합니다. |
IPv4 주소 | 도메인을 연결할 인스턴스 또는 로드밸런스의 외부 IP를 입력 합니다 |
리소스 레코드 유형 | 이름 | 함수 |
---|---|---|
A | Address Mapping records | 레코드 A는 주어진 호스트에 대한 IP 주소 (IPv4)를 알려줍니다.A 레코드는 도메인 이름을 해당하는 IP 주소로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
AAAA | IP Version 6 Address records | 레코드 AAAA (quad-A 레코드이기도 함)는 주어진 호스트에 대해 IPv6 주소를 알려줍니다. 결국 A 레코드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며 차이점은 IP 주소 유형입니다.(IP 버전6) |
CNAME | Canonical Name | CNAME 레코드는 도메인 이름의 별칭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CNAME 레코드는 도메인을 외부 도메인으로 별칭을 지정하려는 경우 유용합니다. 경우에 따라 CNAME 레코드를 제거하고 A 레코드로 대체하면 성능 오버 헤드를 줄일 수도 있습니다. |
... 등등 이 있습니다.
저는 가비아라는 도메인 사이트를 이용하고 있어 이 사이트를 가지고 예를 들겠습니다.
가비아에서 도메인 구매는 어려운 과정이 아니라 생략 하도록 하겠습니다.
가비아 DNS 관리 <-- 이 링크를 타고 들어가시거나
MY가비아에서 DNS 관리틀에 들어가시면 DNS를 관리할 수 있는 페이지가 나올겁니다.
DNS 영역을 만들때 사용했던 IP를 아래와 같이 세팅합니다
호스트 부분에는 도메인 네임앞에 사용할 'www',''와 같은 접두사를 작성하시면 됩니다.
특별한 이상이 없다면 위와 같이 우리가 만든 서버가 나올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