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 GitHub 기초 명령어 ▶️ 이전 정리글 참고
01. Branch란?
'줄기 '를 중심으로 각각 분리된 '나뭇가지 '란 뜻처럼, 여러명과 협업할때 파트를 나눠서 코드를 관리하는 기능이다. 즉, 다른 브랜치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main(줄기 )에서 분리된 개개인의 Branch(나뭇가지 )를 사용한다.
02. Branch 생성/이동 명령어
git branch
: 브랜치 확인//현재 내가 사용하고 있는 Branch는 *브랜치명 으로 표시된다.
git branch
main
* login
//Branch 리스트 확인 후 q 로 나가기
git branch 브랜치명
: 브랜치 생성git switch 브랜치명
: 브랜치 이동(신버전)git checkout 브랜치명
: 브랜치 이동(구버전)git switch -c 브랜치명
: 브랜치 생성 + 이동(신버전)git checkout -b 브랜치명
: 브랜치 생성 + 이동(구버전)01. Pull Request란?
협업 규모가 큰 프로젝트에서 main 브랜치에 코드를 바로 머지하면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그래서 각 기능별로 기능 브랜치에 코드를 작성하고, 이를 하나로 머지하기 전에 추가/수정한 코드의 위치나 완성도를 점검하기 위한 과정이 바로 "Pull Request"이다.
02. Pull Request 요청하는 법
1) 기능 브랜치에서 코드 작성/수정 후 git add
& git commit
2) GitHub에 업로드 ( git push 기능브랜치명
)
3) GitHub 사이트에서 최종 브랜치/기능 브랜치, PR 메세지 확인 후
Create Pull Request
버튼 누르기
Pull Request 요청 전 체크사항
- 브랜치에서 어떤 기능을 어떻게 수정했는지 PR 메세지에 작성하기
- console.log가 수정 전 코드에 남아 있지 않은지 확인하기
- 주석을 제대로 작성했는지 확인하기
4) GitHub에서 코드머지 진행
5) 내 로컬에도 코드머지 완료된 코드 가져오기 ( git pull origin main
)
01. 개발용 Branch dev
현업에서는 main 브랜치를 보통 배포용으로 사용한다. 배포를 하기 전, 최종 코드머지를 완료하고 테스트까지 해보기 위한 개발용 develop 브랜치를 만들어 사용한다.
02. 협업 초기 세팅
1. dev 브랜치 생성
git switch -c dev //dev 브랜치 생성+이동
git push origin dev //GitHub에도 dev 브랜치 반영
2. GitHub 레파지토리 settings에서에서 dev 브랜치를 default로 설정
3. 팀원 Collaborator 등록
-----------------------
4. 코드 리뷰하기
Files Changed에서 코멘트 작성 후 Start a review + Submit review
5. 코드 머지하기
GitHub에서 merge버튼 누르기
1. 레파지토리에서 폴더/파일 가져오기
git clone HTTPS주소 .
2. 기능 개발 시작
git switch -c 기능브랜치명 //본인 파트의 기능 브랜치 생성+이동
코드 작성 ▶️ git add / commit ▶️ git push origin 기능브랜치명
3. Pull Request 생성 + 코드리뷰 요청
Push 후 GitHub에서 Pull Request 생성
Reviewers에서 코드리뷰를 해줄 리뷰어 설정+요청하기
-----------------------
4. 내 로컬에서 충돌 해결 및 테스트 진행
git pull origin dev //dev 브랜치에서 코드 가져와 미리 테스트해보기
*팀원) 추가기능을 개발할 때도 같은 루틴으로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