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mplate : 일정한 틀, 형식가독성있고 쉽게 작성할수 있음(백틱을 사용해서)예제)둘다 값이 없다는 뜻== : 동등비교일떄는 둘다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true가 출력=== : 일치 비교를 하게 되면 두값이 서로 다른 자료형이기 때문에 false가 출력된다
→ 목적을 명확히! 불필요한것들은 숨기기! 핵심만 드러내기!: 반복 입력하는 구체적인 숫자는 오타를 만들어낸다 → 숫자의미전달이 어렵다변수 선언 : var, let, const로 변수를 선언한다.변수는 선언동시에 값을 넣을수 있다.variable : 프로그램 언어에서
x = x - 2; → 오른쪽에있는 피연산자를 왼쪽에 있는 피연산자에 할당한다. (우 → 좌)피연산자 : 연산이 되어지는 대상 | 할당 : 지정했다, 대입했다코드를 해설할때는 할당연산자에 오른쪽부터 해석! (연산식을 먼저 해결 후 왼쪽에 할당)할당 연산자와 결합해서 자
연관성 있는 여러 함수들을 하나로 묶고 싶은경우(=객체)객체의 프로퍼티는 어떤 자료형이든 저장할수가 있기 때문에 프로퍼티값으로 함수를 넣어주면 된다메소드를 사용해서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메소드는 어떤 객체의 고유한 동작으로써 함수에 의미를 부여할수 있어서!메소드를 활
Prefer : 나중에 removeEventListener를 통해서 event listener를 제거 가능!!console.dir("something"); 햇을때 console창에 on---으로 시작하는것들은 보통 Event입니다.h1 object 내부에 있는 obj
splice(startIndex, deleteCount, item) (삭제하고 싶은인덱스, 삭제할 개수, 추가할 아이템)값을 하나만 전달하게 되면 전달된 인덱스로부터 그 이후에 모든 요소를 삭제splice메소드로 요소를 삭제한뒤 추가 가능 (item)splice메소드에
내답 : 스트링을 정수로 바꿔주는 parseInt()메소드를 사용다른분답 : 자바스크립트의 특징 중, 문자열을 숫자 연산자와 함께 사용하게 되면 자바스크립트가 계산을 하기 위해서 자동으로 문자열을 숫자로 바꾸어준다Point💥문자열을 숫자연산자와 사용하게 되면 자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