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 핵심쏙쏙
1-7강) 자료의 저장과 표현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입문
짝수 홀수의 개수
자바 핸드북
part 04. 함수
function solution(num_list) {
let a = 0;
let b = 0;
for (let i = 0; i < num_list.length; i++) {
if (num_list[i] % 2 === 0) {
a++;
} else {
b++;
}
}
return [a, b];
}
길다...
function solution(num_list) {
var answer = [0,0];
for(let a of num_list){
answer[a%2] += 1
}
return answer;
}
이렇게 간단하게 풀 수 있다는 것을 많이 배운다!
function solution(num_list) {
return [
num_list.filter((num) => num % 2 === 0).length,
num_list.filter((num) => num % 2 === 1).length,
];
}
[복습]
let age = prompt("나이를 알려주세요.", 18);
let welcome = (age < 18) ?
() => alert('안녕') :
() => alert("안녕하세요!");
welcome();
function f(arg1, ...rest, arg2) { // ...rest 후에 arg2가 있으면 안 됩니다.
// 에러
}
나머지 매개변수는 항상 마지막에 있어야 합니다.
나머지 매개변수는 남아있는 인수를 모으는 역할을 하므로 아래 예시에선 에러가 발생합니다.
let arr = [3, 5, 1];
let arr2 = [8, 9, 15];
let merged = [0, ...arr, 2, ...arr2];
alert(merged); // 0,3,5,1,2,8,9,15 (0, arr, 2, arr2 순서로 합쳐집니다.)
나머지 매개변수와 스프레드 문법은 아래의 방법으로 구분
...이 함수 매개변수의 끝에 있으면 인수 목록의 나머지를 배열로 모아주는 '나머지 매개변수’입니다.
...이 함수 호출 시 사용되거나 기타 경우엔 배열을 목록으로 확장해주는 '스프레드 문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