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소개 프로젝트 와이어 프레임 기획, 제작 및 역할 분담
특강) Git, Github 이란 무엇인가?
(git 명령어 아님) / 윈도우는 + 클릭 > bash (git bash)
Vs 코드 > 터미널 > 뉴 터미널
: 현재 내가 작업하는 폴더를 보여달라는 뜻 (현 위치 확인)
: 내 폴더 안에 있는 폴더 & 파일 내역을 보여줌 (현 위치의 폴더 및 파일)
: 숨겨진 파일(보통 .으로 시작함)도 모두 볼 수 있음
: la 명령어에서 확인된 폴더로 이동 가능 (ex. Cd Desktop 현 위치가 변경 = 폴더를 더블 클릭해서 들어간 것과 같은 효과 / 안쪽으로 들어갈 때만 가능)
: 한 단계 위의 폴더라는 듯 (ex. cd ..)
폴더명 / 폴더명 (ex. cd Desktop/spart)
: 현재 경로에서 폴더를 생성 (ex. mkdir git-test )
: 현재 경로에서 파일 생성 (ex. touch test.txt)
코드 변경점 기록
= 버전 관리 도구(형상 관리 도구)
= 소프트웨어의 변경 사항을 체계쩍으로 추적하고 통제하는 것
백업, 공유, 협업(온라인 코드 저장소)
백업과 공유가 가능한 온라인 코드 저장소
(Ex. A가 공유 -> b,c,d 공유 주고 받기 가능 -> 협업 가능)
: 코드 관리를 시작하는 명령어
Initialise( : 초기화하다, 초기 세팅하다)의 준말
프로젝트 시작 전 딱 한 번만 입력하면 됨 (프로젝트 당 한 번만/ 여러 번 입력한다고 문제되진 않음)
⭐️⭐️⭐️정확한 프로젝트 폴더(경로)에서 입력해야 함 (잘못하면 데스크탑 전체 파일, 폴더가 다 기록됨/ cd 명령어 사용)
(실습)
폴더 만들기 -> 폴더 열기 -> 터미널 경로 확인 -> 파일 만들고 텍스트 입력, 저장 -> 터미널 경로 확인 필수(pwd, cd 명령어 사용 / window의 경우git bash, bash)-> git init 명령어 입력 -> .git 이라는 폴더(숨겨진 폴더)가 생성 ( la -a 로 확인 가능) : 코드 변경점을 계속 추적 & 기록
: 코드를 저장하는 명령어1 (지정)
Git add 파일명 ex. Git add index.html
저장하기 전 저장할 파일 지정
모든 파일 지정할 시 : .
Git add.
(점은 현재 나의 경로의 모든 변경된 사항을 말함)
-> ex. Git add. > git commit -m “파일 n개 저장”
: 코드를 저장하는 명령어2
Git commit -m “메세지 작성(*자세하게 적는 게 좋음)” ex. Git commit-m “index.html 첫 코드 작성”
실제로 저장하는 명령어
: 저장 여부를 확인하는 명령어
저장하지 않은 파일을 붉은 색으로 표기
: 저장 내역을 확인하는 명령어
(commit한 내역이 나옴/ 커밋 메시지로 코드 변경점 추측 가능/ git diff 코드 변경 확인/ git reset 과거로 돌아가기 가능 / 키보드 q 로 빠져나오기 가능)
사전 작업) 로그인 -> New -> 레포지토리 생성
Github 내에 명령어(*or push existing… 의 git remote add or ) 세 줄 복사 후, vs 코드 터미널에 복붙 -> 코드가 잘 올라갔는지 확인
: 수정 코드 반영
코드 수정
코드 저장 명령어 실행
Git push origin 브랜치명(*main으로 작성)
Ex. 코드 수정 -> git add. -> Git commit -m “코드 수정” -> git push origin main
*한 번 git push origin main 사용 하면 이후 git push 만 써도 됨
초기 프로젝트 코드 작성 -> 레포지토리 생성 및 올리기
Collaborator :
세팅 > 콜라보 > add people > 팀원들의 유저네임 및 이메일 입력 > 팀원 초대 수락
: 코드 복사해오기
코드 클론 > 주소 복사
폴더 만들기 >
git clone <github 주소 붙여넣기> .
폴더 만들었다면 .
폴더 없다면 <>
코드 수정 -> 코드 저장 명령어 실행 -> git push origin main
: 다른 사람이 변경한 코드 내 코드에도 가져오기
ex. 코드 수정 후 git push 할 때 에러 -> Git pull origin main
힌트 뜨며 안 될 때? 힌트 Git config pull. … #merge 전까지 복붙 -> git pull origin 다시 해보기
터미널에 아무것도 입력이 안 되는 vim 에디터가 뜬다면? Esc-> : -> wq -> enter
같은 파일의 같은 위치에 코드가 변경 됐기 때문 (a 개발자가 2번째줄 코드 변경 + b 개발자가 2번째줄 코드 변경)
<< Head 삭제
==== 삭제
'>> 4182 삭제
원하는 코드로 수정 (*팀원과 상의)
-> 이후 코드 저장 명령어 실행 -> git push
충돌 해결 완료
——
클론 : 아무것도 없을 때 (초기에 사용)
풀 : 변경 사항만 가져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