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포먼스 마케터 부트캠프 11주 2일차 (참여 44일차)

MIN BAEK·2025년 7월 23일
0

1. 마케팅 직무의 이해

마케팅이란?
→ 시장을 정의하고, 고객과의 교환을 창출·유지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활동

주요 프레임워크
→ 4P(Product, Price, Place, Promotion), AIDMA 모델(Attention → Action)

2. 마케팅 세부 직무별 역할

브랜드 마케터
: 브랜드 정체성, 캠페인 기획, 브랜드 자산 및 인지도 관리
→ KPI: 인지도, 회상률, 검색량, 브랜드 자산 완성도 등

콘텐츠 마케터
: 콘텐츠 기획·제작, SEO 기반 콘텐츠 마케팅
→ KPI: 도달률, 조회수, 전환율, 검색 유입량

퍼포먼스 마케터
: 디지털 광고 집행 및 최적화, 광고 리포트 작성
→ KPI: 전환율, 클릭률, 광고 효율(ROAS, CAC 등)

CRM 마케터
: 기존 고객 유지·재구매 유도, 개인화 마케팅 캠페인 운영
→ KPI: 재구매율, 고객 LTV, Retention

3. 마케팅과 그로스해킹의 차이

마케팅: 브랜딩, 고객 획득, 인지도 중심

그로스해킹: 실험 기반의 빠른 개선과 성장을 목표
→ 퍼널 분석, 실험 설계, 전환 최적화에 집중

4. 산업군별 실무 특징

B2C: 유입과 전환 퍼널 중심 분석 (DAU, Retention 등)

B2B: 리드 생성, 세일즈팀과 협업 중심

커머스: SKU별 전략, 매출 중심 KPI

대행사: 매체 전문성 + 클라이언트 대응력 필요

5. 마케터가 갖춰야 할 역량

비즈니스 이해력, 문제 해결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트렌드 감지력, 고객 분석력, 데이터 기반 사고 (성과 정량화)

6. 데이터 기반 마케팅의 기초

성과 지표 예시
CPM, CPC, CPA, CAC, CTR, CVR, ROAS, Retention, LTV

IPO 프레임워크
Input(예산/자원) → Process(캠페인 기획/집행) → Output(성과)

AARRR 퍼널 분석
Acquisition → Activation → Retention → Revenue → Referral

7. 실험 설계와 가설 수립

좋은 가설 예시:
“A를 하면 B에게 C의 결과가 나타날 것이다.”

문제 정의의 중요성:
→ 단순 현상(예: 이탈률 높음)보다, 원인을 파악하고 가설로 연결

8. GA4 & GTM 실무 이해

GA4: 사용자 행동 분석 도구 (이벤트 기반 구조)

GTM: 코드 수정 없이 이벤트 추적 태그 설정 가능

UTM: 트래픽 출처를 식별하는 URL 태그

profile
안녕하세요 백민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