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포먼스 마케터 부트캠프 3주 1일차 (참여 8일차)

MIN BAEK·2025년 5월 26일
0

1. 오늘 학습 키워드

출력문, 자료형,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2. 학습한 내용

1️⃣ 출력문 print()

✅ 변수 = : 무언가를 담고 있는 바구니

x=10
print(x) #출력값 10
변수에 무엇이 담겼냐에 따라 자료형이 달라짐

주요 자료형

  • 정수 int
  • 실수 float
  • 문자열 str

Sequence type(순서대로 나열된 자료형)

  • 리스트 List
  • 튜플 Tuple
  • 딕셔너리 Dict

✅ type 해당 변수가 어떤 자료형인지 알 수 있는 함수

✅ 메서드 함수 upper()

sentence=“python programming is fun”
print(sentence.upper()) #대문자 변환

1)문자열

name=“Alice”
greeting=‘hello, world!”

문자열 연산

Full_greeting= greeting+”My name is”+name
print(Full_greeting) #hello,world! My name is Alice 출력

2) 숫자열

num1=10
num2=3,4

숫자열 연산

+-*///%
sumdiffproductdivisionintegerremainder
나누기나머지

🧐몫과 나머지는 어떨 때 쓸까?

배수만 뽑고 싶은 경우 ex) 어떤 나눈 수의 나머지가 0이면 그 수는 나눈 수의 배수

3) 불리언(boolean)

자료형 주어진 조건이 참 or 거짓 나타내는 데 사용

4) NaN(결측값)

not a number 자료형은 아님

5) 입력문 input()

키보드 입력을 받는 함수

int() 문자열 숫자 정수로 바꿀떄
input(첫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10 str
int(input(첫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10 int

✅ Import : 패키지 불러오는 방법

2️⃣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1) 리스트

파이선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 중 하나, 가변한 시퀀스
리스트 생성

my_list=[1,2,3,4,5]

리스트 기본구조

print(my_list) # [1,2,3,4,5] 출력

리스트의 인덱싱

numbers=[1,2,3,4,5]
first number = numbers[0]
print("first number", first number) #1 출력

리스트의 다양한 메서드(. 찍고 메서드 함수)

  • ⭐️append() 항목 추가
  • extend() 리스트에 다른 리스트의 모든 항목 추가
  • insert() 특정 위치에 항목 삽입
  • remove() 특정값 삭제 *비슷한 함수: del my_list[n] 인덱스 n번째값 제거
  • pop() 특정 위치 값 제거 후 반환
  • index() 특정값 인덱스 찾음
  • count() 특정값 개수 세줌
  • sort() 항목 정렬
  • reverse() 항목역순

리스트의 고급 사용법
리스트의 일부분을 추출하는 것
리스트에서 특정 법위 항목을 선택하거나 리스트를 자르는 등의 작업 할 수 있음

슬라이싱 :

new_list=old_list[start:end:step]

⭐️end 끝 인덱스의 한칸 전까지만 간다

정렬 sort()

  • 오름차순 sort() or sort(reverse=False)
  • 내림차순 sort(reverse=True)
  • 문자열길이 sort(key=len)

2) 튜플()

변경할 수 없는 시퀀스 자료형
리스트와 유사하지만 한번 생성한 이후엔 요소 추가.삭제.수정 불가
데이터 보호하고 싶을 때 사용

3) 딕셔너리{}

키(key), 값(value) 쌍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 구조
키는 중복 X

3. 학습하며 겪었던 문제점

🧐 range() 와 slicing 차이
range는 a부터 b 직전(b-1)까지 정수
slicing은 list[a:b] 인덱스 기준 a번 인덱스부터 b-1 인덱스까지 값 추출

역삼각형이 만들어지는 원리가 이해가 안가서 찾아본 내용
이중 for문 사용 중...
size = 5
for i in range(size, 0, -1):
for j in range(i):
print("*", end="")
print()

❓end=''는 왜 *을 붙여서 쓰게 해주고 print()는 줄나눔을 해주는지?
python print의 기본 함수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음

print(*objects, sep=' ', end='\n', file=sys.stdout, flush=False)

따라서 기본적으로 출력 후 자동으로 줄바꿈(\n) 을 붙이도록 되어 있고 다음 출력은 항상 새 줄에서 시작하게 됨
그렇기 때문에 붙여서 쓰고 싶을 경우 end=""을 작성해주어야 함

인자 이름기본값역할
objects-출력할 값들(여러 개도 가능)
sep' '여러 값을 출력할 때 값 사이에 넣을 문자 (기본은 공백 ' ')
end'\n'출력 끝에 붙는 문자. 기본은 줄바꿈
filesys.stdout출력할 대상. 기본은 콘솔(화면)
flushFalse출력 버퍼를 강제로 비울지 여부. 일반적으로는 무시해도 됨

콜론의 대표적인 용도

문맥:의 의미
조건문, 반복문 등블록 시작 표시
슬라이싱범위 구분자
딕셔너리key : value 연결자

4. 오늘의 인사이트

콜론과 들여쓰기 때문에 자꾸 오류가 발생했다.
들여쓰기 → 어떤 코드들이 그 블록에 포함되는지 구조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신경써주는것이 매우매우 중요‼️

5. 내일 학습 할 일 정리

데이터 분석 파이썬 종합반 완강하자 아자자~!

profile
안녕하세요 백민입니다:)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5년 5월 26일

문제점을 적어주셔서 복기하기 좋은 글이에요!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