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코드 작성하려고하니 스프링을 더 공부해야겠다는 생각만 든다
평소처럼 깃허브를 쓰다가 뜬 알림인데 뭔가 싶어서 찾아봤다.
merge made by the 'recursive' strategy.
브랜치를 만들고 병합하는 과정을 두가지가 있다.
1. fast-forward
2. 3-way merge
1. fast-forward
master 브랜치에서 commit을 3번 한 후 c2에서 새로운 브랜치 iss53을 만들어서 새로운 commit c3를 함
새로운 브랜치 hotfix를 만들어서 새로운 commit c4를 함
hotfix와 master를 병합하면 fast-forward 방식 => master가 새로운 commit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동만 함
2. 3-way merge
iss53 브랜치에서 새로운 commit c5를 하고 master 브랜치와 merge하면 현재 브랜치인 iss53이 가리키는 commit이 master 브랜치의 조상이 아니기 때문에 1번 방식으로 merge하지 않음
master 브랜치의 포인터를 최신 commit인 c5로 옮기는게 아니라 3-way merge의 결과로 새 commit c6을 만들고 이동함 => 이런 commit을 merge commit이라고 함
나의 경우가 3-way merge였는데 처음 dev 브랜치에서 팀원이 새로운 브랜치에서 commit을 하고 먼저 merge를 해서 발생했다.
위의 설명대로 이야기하자면 master 브랜치 역할이었던 dev에 우리팀원이 hotfix 브랜치 역할로 새로운 브랜치를 만들어 나보다 먼저 merge를 했다. 그리고 iss53 브랜치 역할로 내가 만든 feature/domain-test/115 브랜치에서 한 commit이 dev 브랜치의 조상이 아니었기 때문에 merge made by the 'recursive' strategy.이런 문구가 떴다.
테스트 코드 작성 및 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