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Text Transfer Protocol. 웹에서 쓰는 공식 통신규약
웹 브라우저(클라이언트)에서 WAS(서버)에 request 하면, WAS 에서 response.
한 번의 request-response가 오고가고나면 둘의 연결(connection)을 끊음
=> Connectionless, Stateless(비 지속성)
IP주소는 공유 가능. 장비니까
하지만 장비 위에서 운영중인 프로그램들은 하나의 포트번호만 가짐. 포트번호는 공유 불가능
도메인 : 숫자체계의 IP주소로는 기억하기 힘드니까, 쉽고 의미있게 이름 붙인 정보를 가진 시스템 및 서버를 의미.
프로토콜://호스트 번호:포트번호/경로/파일명
http://www.naver.com:80/index.html
포트번호/
이후의 경로/파일명
이 아무리 길어도 URI.
요청과 응답은 일정한 형식을 띈 문서 형태로 주고 받는다.
HTTP Request
(URL이 아니라 URI임...)
HTTP Response
WAS에는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컨테이너를 최소 세 개 이상 가지고 있음.
1. Servlet Container. 서블릿을 실행시킬 수 있는 실행환경
2. JSP Container. JSP를 실행시킬 수 있는 실행환경
3. EJB Contatiner
이름 만들 때 name은 ---servlet
URL Mappigs Pattern은 servlet 삭제하고 그 앞에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