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

mingggkeee·2022년 2월 8일
0

Java

목록 보기
17/20

리스트

  • 순서를 가진 데이터의 집합을 가리키는 추상자료형(abstract data type)
  • 동일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도 상관 없다(순서가 있기 때문)
  • 구현 방법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1) 순차 리스트 : 배열을 기반으로 구현된 리스트
    2) 연결 리스트 : 메모리의 동적할당을 기반으로 구현된 리스트

순차리스트

구현 방법

  • 1차원 배열에 항목들을 순서대로 저장
  • 데이터의 종류와 구조에 따라 구조화된 자료구조를 만들어 배열에 저장할 수도 있다.
  • ex) int[] nums = {4, 9, 11, 23};

데이터 접근

  • 배열의 인덱스를 이용해 원하는 위치의 데이터에 접근 가능
  • ex) int a = nums[3];

삽입 연산

  • 삽입 위치 다음의 항목들을 뒤로 이동해야 한다.
  • 수작업으로 일일이 해줘야함..

삭제 연산

  • 삭제 위치 다음의 항목들을 앞으로 이동해야 한다.
  • 이 또한 수작업으로 앞으로 일일이..

순차 리스트의 문제점

  • 단순 배열을 이용한 순차리스트를 구현해 사용하는 경우, 자료의 삽입/삭제 연산 과정에서 연속적인 메모리 배열을 위해 원소들을 이동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 원소의 개수가 많고 삽입/삭제 연산이 빈번하게 일어날수록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증가한다.
  • 배열의 크기가 정해져 있는 경우, 실제로 사용될 메모리보다 크게 할당하여 메모리의 낭비를 초래할수도 있고, 반대로 할당된 메모리보다 많은 자료를 사용하여 새롭게 배열을 만들어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연결 리스트

특성

  • 자료의 논리적인 순서와 메모리 상의 물리적인 순서가 일치 X, 개별적으로 위치하고 있는 각 원소를 연결하여 하나의 전체적인 자료구조를 이룬다.
  • 링크를 통해 원소에 접근하므로, 순차 리스트에서처럼 물리적인 순서를 맞추기 위한 작업 필요 X
  • 자료구조 크기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메모리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

노드

  • 연결 리스트에서 하나의 원소를 표현하는 building block
  • 구성 요소
    1) 데이터 필드
    • 원소의 값을 저장
    • 저장할 원소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구조를 정의하여 사용
      2) 링크 필드
    • 다음 노드의 참조값을 저장

헤드

  • 연결 리스트의 첫 노드에 대한 참조값을 가지고 있다.

단순 연결 리스트

연결 구조

  • 노드가 하나의 링크 필드에 의해 다음 노드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 헤드가 가장 앞의 노드를 가리키고, 링크 필드가 연속적으로 다음 노드를 가리킨다.
  • 링크 필드가 Null인 노드가 연결 리스트의 가장 마지막 노드

이중 연결 리스트

특성

  • 양쪽 방향으로 순회할 수 있도록 노드를 연결한 리스트
  • 두 개의 링크 필드와 한 개의 데이터 필드로 구성

연결 구조

profile
만반잘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