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테이블
(1) 행
(2) 열
세로들
저장하려는 데이터를 대표하는 이름과 공통 특성을 정의
저장 정보의 종류(데이터 타입)과 저장 가능한 값의 최대 길이, 값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등의 저장 조건과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3)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관계란?
⇒ 행과 열의 특성에 맞추어 데이터를 저장한 테이블 하나하나를 의미한다.
(1) 키?
하나의 테이블을 구성하는 여러 열 중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 하나 또는 여러 열의 조합
→ 종류별로 데이터를 구별하거나 테이블 간의 연관 관계를 표현할 때, 키로 지정한 열을 사용한다.
(2) 키는 기본키, 후보키, 외래키, 복합키로 구분할 수 있다.
(3) 기본키(primary key)
가장 중요한키
테이블 내에서 중복되지 않는 값만 가질 수 있는 키
기본키의 속성
테이블에 저장된 행을 식별할 수 있는 유일한 값이어야 한다.
값의 중복이 없어야 한다.
NULL 값을 가질 수 없다.
중복되지 않는 유일한 값 → 하나 또는 여러 열의 조합으로 만들 수 있다.
정보 노출이 가장 적은 데이터로 기본키를 선정한다. (예; 학생 테이블에서 학번)
(4) 보조키
대체키(alternative key)라고도 불린다.
후보키(candidate key)에 속해 있는 키이다.
후보키? 기본키가 될 수 있는 모든 키를 의미 → 기본키 역시 후보키에 속한다.
후보키 중 기본키로 지정되지 않은 키를 보조키 또는 대체키라고 한다.
슈퍼키(super key)? 행 식별이 가능한 키의 모든 조합을 의미
(5) 외래키(FK : Foreign Key)
외래키? 특정 테이블에 포함되어 있으면서 다른 테이블의 기본키로 지정된 키를 의미
예; 학과 테이블에서의 기본키인 학과 코드가 학생 정보 테이블의 일반 열이 될 때, 학과 코드가 외래키가 된다.
이 학과 코드는 학생 정보 테이블과 학과 정보 테이블을 이어 주는 역할을 한다.
학생 정보 테이블은 학과 코드를 통해 학과 정보 테이블의 세부정보를 찾을 수 있는데 이를 학생 정보 테이블이 학과 코드를 참조한다고 표현한다.
(6) 복합키(composite key)
복합키? 여러 열을 조합하여 기본키 역할을 할 수 있게 만든 키
하나의 열만으로 행을 식별하는 것이 불가능할 때 두 개 이상의 열 값을 사용하여 유일한 데이터로서 가치를 지니게 한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 행을 구분하기 위해, 그리고 여러 테이블 간의 관계를 정의하기 위해 키를 사용한다.
자료형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는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2) 자료형(data type)? 데이터가 어떤 형태의 데이터인지 말할 때 사용하는 용어
(↑ 이밖에도 많음)
(3) 자료형은 테이블을 구성하는 열에 지정한다.
예; NUMBER(4)로 지정한 열은 네 자리 숫자만 저장할 수 있다. → 문자열, 다섯 자리 넘는 숫자 저장 X
(4) 스칼라형? 하나의 자료형에 맞춰 한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
(5) 컬렉션형? 한 번에 여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VARRAY, NESTED TSBLE
(1) 객체?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논리 구조를 가진 구성요소
PL/SQL
PL/SQL? → (Procedural Language extension to SQL), 기존 SQL만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에 한계가 있을 때,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관리를 위해 별도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제공하는데 이를 PL/SQL이라고 한다.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SQL문 + PL/SQL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