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tmat()함수는 문자열이 가지고 있는 함수이다.
"{ }".format(5)
"{ } { }".fotmat(10, 20)
"{ } { } { } { }".format(1, 2, 3,4)
중괄호{}의 개수와 format함수 괄호 안 매개변수의 개수는 반드시 같아야 한다.
>>> a = "{}".format(10)
>>> print(a)
10
>>> print(type(a))
<class 'str'>
{}기호를 format의 괄호 안에 있는 매개변수로 대체한다.
>>> a = "{}만 원".format(5000)
>>> b = "매출 {}만원 달성하기".format(5000)
>>> c = "{} {} {}".format(3000, 4000, 5000)
>>> d = "{} {} {}".format("안녕", 1, True)
>>> print(a)
5000만 원
>>> print(b)
매출 5000만원 달성하기
>>> print(c)
3000 4000 5000
>>> print(d)
안녕 1 True
숫자 이외의 자료형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 c = "{} {} {} {}".format(3000, 4000, 5000)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pyshell#126>", line 1, in <module>
c = "{} {} {} {}".format(3000, 4000, 5000)
IndexError: Replacement index 3 out of range for positional args tuple
{}기호의 개수가 format()함수의 매개변수 개수보다 많으면 Index Error예외가 발생한다.
>>> d = "{} {} {}".format(1, 2, 3, 4, 5)
>>> print(d)
1 2 3
{}개수보다 매개변수가 많을 경우 {}의 개수만큼 적용되고 나머지는 버려진다.
upper() 함수는 문자열의 알파벳을 대문자로 lower()함수는 문자열의 알파벳을 소문자로 바꿔준다.
>>> a = "hello world!"
>>> a.upper()
'HELLO WORLD!'
>>> a.lower()
'hello world!'
upper()함수와 lower()는 비파괴적 함수이다. a의 문자열은 변하지 않는다.
문자열 양옆의 공백을 제거하는 함수이다.
strip() 문자열 양옆의 공백을 제거하는 함수이다.
lstrip() 문자열 왼쪽의 공백을 제거하는 함수이다.
rstrip() 문자열 오른쪽이 공백을 제거하는 함수이다.
lstrip()함수와 rstrip()함수는잘 쓰이지는 않는다.
>>> print(a)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 print(a.strip())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
문자열이 소문자로 구성되어 있는지 알파벳으로만 구성되어 있는지 숫자로만 구성되어 있는지 등을 확인할 때 쓰는 함수이다.
isalnum() : 문자열이 알파벳 또는 숫자로만 구서되어 있는지 확인
isalpha(): 문자열이 알파벳으로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
isidentifier() : 문자열이 식별자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인지 확인
isdecimal() : 문자열이 정수 형태인지 확인
isdigit() : 문자열이 숫자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인지 확인
isspace() : 문자열이 공백으로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
islower() : 문자열이 소문자로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
issupper() : 문자열이 대문자로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
출력은 True 또는 False라고 나온다.
>>> print("apple100".isalnum()) #알파벳, 숫자로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
True
>>> print("apple100".isalpha()) #알파벳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
False
>>> print("100".isdigit()) #정수 형태인지 확인
True
문자열 내부에 특정 문자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함수
find() : 왼쪽부터 찾아서 처음 등장하는 위치
rfind() : 오른쪽부터 찾아서 처음 등장하는 위치
문자열 가장 앞글자는 0번째라고 센다.
>>> a = "안녕안녕하세요".find("안녕")
>>> print(a)
>>> b = "사과바나나복숭아수박사과".rfind("사과")
>>> print(b)
문자열 내부에 어떤 문자열이 있는지 확인할 때 쓰는 함수
>>> print("안녕" in "안녕하세요")
True
>>> print("감사" in "안녕하세요")
False
문자열을 특정한 문자로 자를 때 사용하는 함수
>>> x = "10 20 30 40 50".split(" ")
>>> print(x)
['10', '20', '30', '40', '50']
>>> x = "10=20=30=40=50".split("=")
>>> print(x)
['10', '20', '30', '40', '50']
.split("")함수괄호 안의 문자(공백포함)기준으로 문자열을 자른다.
문자열 사이에 들어갈 문자나 공백을 지정할 수 있다.
>>> print(1, 2, 3, sep = " ")
1 2 3
>>> print(1, 2, 3, sep = "+")
1+2+3
>>> print(1, 2, 3, sep ="\n")
1
2
3
>>> print("가", "나", "다", sep = "+")
가+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