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명령어 정리 -기초 터미널 사용법-

김민준·2024년 10월 29일
1

Git "add,commit"

작업폴더에서 git 쓰고 싶으면
git init을 입력

.

특정파일을 저장하려면
" git add 파일이름.c " 입력

.

git add file1.c file2.c file3.c 이렇게 사용가능
현재 파일안에 있는 코드를 전부 add하려면
" git add . "를 입력

.

git commit -m "메모" 로 커밋

.
.

Git "status"

현재 git commit의 상태를 알아보고 싶을때 상태창을 키려면
" git status "를 입력

.
.

Git "git log --all --oneline"

커밋한 내용을 모두 보고싶으면
" git log --all --oneline "입력

.
.

VScode git 사용법

여기서 +버튼을 누르면 git add를 하는 것과 같다.
그리고 위에 커밋버튼은 git commit을 할 수 있고 위에 입력창에 commit메모를 입력할 수 있다.

.
.

Git "git diff" , "git difftool"

이전에 커밋된 코드와 현재 커밋된 코드를 확인하고 싶으면
git diff 입력
.
단. 터미널의 한계로 차이점을 확인하는 것은 힘들다.
따라서 " git difftool "을 입력하면

이런 창이 뜨고 여기서 Y를 누르면

깔끔하게 이전 커밋와 현재 커밋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VIM 에디터이기 때문에 hjkl키가 방향키이다.
화면을 끄려면 :q 나 :qa 를 입력
만약 이상하게 수정된다면 esc를 누르면된다.

.
.

Git "git difftool 커밋아이디"

git log --all --oneline을 입력하면 이렇게 주소가 뜬다.
여기서 특정시간대에 커밋된 파일과 현재를 비교하고 싶다면
git difftool aa681fd 를 입력하자

그럼 이렇게 aa681fd 즉 버블정렬제작과 현재파일을 비교할 수 있다.
.
" git difftool 특정주소 특정주소 "를 입력하면 특정주소끼리의 차이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
Dankook University . Mobile System Engineerin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