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토큰 저장 3가지

김민재·2024년 1월 24일
0

TIL

목록 보기
106/172
  1. 로그인 후 accessToken 저장 방법

    세션 저장:

장점:

  1. 세션 단위 저장: 세션 기간 동안만 데이터를 저장하며, 브라우저가 닫히면 데이터가 삭제됩니다.

단점:

  1. 용량 제한: Local Storage보다는 적은 양의 데이터만 저장할 수 있습니다.
  2. 동일 출처 정책(Cross-Origin Policy): 동일 출처 정책에 따라 특정 도메인에서만 접근할 수 있습니다.

로컬스토리지 저장:

  1. 영구적 저장: 데이터는 사용자가 직접 삭제하지 않는 한 계속해서 브라우저에 남아 있습니다.
  2. 큰 용량: 일반적으로 다른 저장소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단점:

  1. 보안 문제: 데이터가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영구적으로 저장되므로, 민감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2. 동일 출처 정책(Cross-Origin Policy): 동일 출처 정책에 따라 특정 도메인에서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쿠키 저장

장점:

  1. 보안: 옵션을 설정하여 쿠키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서버와의 통신: 쿠키는 HTTP 요청과 함께 서버로 전송되어 서버와 상호 작용하는 데 사용됩니다.

단점:

  1. 용량 제한: 쿠키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어 큰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2. 모든 HTTP 요청에 포함: 모든 HTTP 요청에 쿠키가 포함되므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트래픽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사용 용도

보안이 중요한 경우: 민감한 정보를 다룰 때는 쿠키보다는 세션 스토리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큰 양의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Local Storage가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서버와 상호 작용이 필요한 경우: 쿠키는 서버와의 통신에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는 토큰을 저장하는 용도로는 쿠키 또는 세션 스토리지가 많이 사용됩니다. 보안과 사용자 경험을 고려하여 적절한 저장소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profile
개발 경험치 쌓는 곳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