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채팅방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는 친구가 아닌 사람들과 대화를 할 수 있는데, 본래 닉네임이 아닌 가상의 닉네임을 사용하여 채팅방에 들어갈 수 있다.
신입사원인 김크루는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을 개설한 사람을 위해, 다양한 사람들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지켜볼 수 있는 관리자창을 만들기로 했다. 채팅방에 누군가 들어오면 다음 메시지가 출력된다.
"[닉네임]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서 누군가 나가면 다음 메시지가 출력된다.
"[닉네임]님이 나갔습니다."
채팅방에서 닉네임을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이다.
닉네임을 변경할 때는 기존에 채팅방에 출력되어 있던 메시지의 닉네임도 전부 변경된다.
예를 들어, 채팅방에 "Muzi"와 "Prodo"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사람이 순서대로 들어오면 채팅방에는 다음과 같이 메시지가 출력된다.
"Muzi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 있던 사람이 나가면 채팅방에는 다음과 같이 메시지가 남는다.
"Muzi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Muzi님이 나갔습니다."
Muzi가 나간후 다시 들어올 때, Prodo 라는 닉네임으로 들어올 경우 기존에 채팅방에 남아있던 Muzi도 Prodo로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은 중복 닉네임을 허용하기 때문에, 현재 채팅방에는 Prodo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사람이 두 명이 있다. 이제, 채팅방에 두 번째로 들어왔던 Prodo가 Ryan으로 닉네임을 변경하면 채팅방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Ryan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 들어오고 나가거나, 닉네임을 변경한 기록이 담긴 문자열 배열 recor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기록이 처리된 후, 최종적으로 방을 개설한 사람이 보게 되는 메시지를 문자열 배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record | result |
---|---|
["Enter uid1234 Muzi", "Enter uid4567 Prodo","Leave uid1234","Enter uid1234 Prodo","Change uid4567 Ryan"] |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Ryan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
입출력 예 #1
문제의 설명과 같다.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record:[String]) -> [String] {
// user : 유저 아이디(key)와 닉네임(value)을 담을 딕셔너리
// message : Enter, Leave 메시지만 담을 배열
var user = [String : String]()
var message = [String]()
record.forEach {
let content = $0.split(separator: " ")
let command = String(content[0]), uid = String(content[1])
var name = ""
// Enter 거나 Change 이면 user 딕셔너리에 유저아이디와 닉네임 넣기
if command == "Enter" || command == "Change" {
name = String(content[2])
user.updateValue(name, forKey: uid)
}
// Enter 거나 Leave 이면 message 배열에 해당 메시지 넣기
if command == "Enter" || command == "Leave" {
message.append("\(command) \(uid)")
}
}
return convertMessage(message, user)
}
// 영어 → 한글, 유저아이디 → 닉네임
func convertMessage(_ message: [String], _ user: [String : String]) -> [String] {
var results = [String]() // 변환된 메시지를 저장할 배열
message.forEach {
let content = $0.split(separator: " ")
let command = String(content[0]), uid = String(content[1])
// user 딕셔너리의 유저아이디 key 값인 닉네임 가져와서
// Enter, Leave에 따라 메시지 생성
if command == "Enter" {
results.append("\(user[uid]!)님이 들어왔습니다.")
} else if command == "Leave" {
results.append("\(user[uid]!)님이 나갔습니다.")
}
}
return results // 메시지가 담긴 배열 반환
}
정확성 | 테스트 | 정확성 | 테스트 |
---|---|---|---|
테스트 1 〉 | 통과 (0.14ms, 16.1MB) | 테스트 2 〉 | 통과 (0.12ms, 16.5MB) |
테스트 3 〉 | 통과 (0.34ms, 16.6MB) | 테스트 4 〉 | 통과 (0.31ms, 16.5MB) |
테스트 5 〉 | 통과 (5.05ms, 16.6MB) | 테스트 6 〉 | 통과 (4.93ms, 16.8MB) |
테스트 7 〉 | 통과 (4.64ms, 16.6MB) | 테스트 8 〉 | 통과 (4.99ms, 16.8MB) |
테스트 9 〉 | 통과 (10.34ms, 17MB) | 테스트 10 〉 | 통과 (4.78ms, 16.6MB) |
테스트 11 〉 | 통과 (2.80ms, 16.6MB) | 테스트 12 〉 | 통과 (2.66ms, 16.8MB) |
테스트 13 〉 | 통과 (6.41ms, 16.8MB) | 테스트 14 〉 | 통과 (5.51ms, 16.5MB) |
테스트 15 〉 | 통과 (0.12ms, 16.5MB) | 테스트 16 〉 | 통과 (0.12ms, 16.4MB) |
테스트 17 〉 | 통과 (0.60ms, 16.5MB) | 테스트 18 〉 | 통과 (0.60ms, 16.5MB) |
테스트 19 〉 | 통과 (5.51ms, 16.9MB) | 테스트 20 〉 | 통과 (4.31ms, 16.9MB) |
테스트 21 〉 | 통과 (5.85ms, 16.6MB) | 테스트 22 〉 | 통과 (4.95ms, 16.7MB) |
테스트 23 〉 | 통과 (5.15ms, 16.9MB) | 테스트 24 〉 | 통과 (4.98ms, 16.7MB) |
테스트 25 〉 | 통과 (529.53ms, 57.6MB) | 테스트 26 〉 | 통과 (595.83ms, 59.5MB) |
테스트 27 〉 | 통과 (598.18ms, 61.4MB) | 테스트 28 〉 | 통과 (699.90ms, 65.1MB) |
테스트 29 〉 | 통과 (563.49ms, 62.9MB) | 테스트 30 〉 | 통과 (552.98ms, 55.3MB) |
테스트 31 〉 | 통과 (566.22ms, 62.8MB) | 테스트 32 〉 | 통과 (565.98ms, 57.5MB) |
func solution(_ record:[String]) -> [String] {
let actions = ["Enter":"님이 들어왔습니다.", "Leave":"님이 나갔습니다."]
var a = [String:String]()
record.forEach {
let separated = $0.components(separatedBy: " ")
// 첫 단어가 Enter와 Change 인 경우만
// a 딕셔너리에 유저아이디(key)와 닉네임(value)를 넣는다.
if separated.count > 2 {
a[separated[1]] = separated[2]
}
}
print(record.filter { !$0.contains("Change")}.map { (value: String) -> String in
let separated = value.components(separatedBy: " ")
let newString = a[separated[1]]! + actions[separated[0]]!
return newString
})
// 첫 단어가 Enter와 Leave 인 경우만
// a 딕셔너리에서 유저아이디 key 값에 해당하는 닉네임을 가져오고
// actions 딕셔너리에서 첫단어 key 값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가져와 메시지를 반환한다.
return record.filter { !$0.contains("Change") }.map { (value:String) -> String in
let separated = value.components(separatedBy: " ")
let newString = a[separated[1]]! + actions[separated[0]]!
return newString
}
}
정확성 | 테스트 | 정확성 | 테스트 |
---|---|---|---|
테스트 1 〉 | 통과 (0.27ms, 16.3MB) | 테스트 2 〉 | 통과 (0.25ms, 16.5MB) |
테스트 3 〉 | 통과 (0.65ms, 16.6MB) | 테스트 4 〉 | 통과 (0.64ms, 16.6MB) |
테스트 5 〉 | 통과 (9.90ms, 16.7MB) | 테스트 6 〉 | 통과 (10.02ms, 16.8MB) |
테스트 7 〉 | 통과 (9.68ms, 16.6MB) | 테스트 8 〉 | 통과 (10.65ms, 16.8MB) |
테스트 9 〉 | 통과 (12.06ms, 16.9MB) | 테스트 10 〉 | 통과 (9.92ms, 16.6MB) |
테스트 11 〉 | 통과 (6.28ms, 16.6MB) | 테스트 12 〉 | 통과 (11.80ms, 16.9MB) |
테스트 13 〉 | 통과 (10.08ms, 16.8MB) | 테스트 14 〉 | 통과 (13.52ms, 16.8MB) |
테스트 15 〉 | 통과 (0.23ms, 16.1MB) | 테스트 16 〉 | 통과 (0.21ms, 16.4MB) |
테스트 17 〉 | 통과 (1.22ms, 16.3MB) | 테스트 18 〉 | 통과 (1.17ms, 16.4MB) |
테스트 19 〉 | 통과 (11.36ms, 16.7MB) | 테스트 20 〉 | 통과 (9.53ms, 16.7MB) |
테스트 21 〉 | 통과 (8.95ms, 16.4MB) | 테스트 22 〉 | 통과 (9.75ms, 16.5MB) |
테스트 23 〉 | 통과 (10.62ms, 16.9MB) | 테스트 24 〉 | 통과 (11.51ms, 16.9MB) |
테스트 25 〉 | 통과 (1108.20ms, 57.7MB) | 테스트 26 〉 | 통과 (1270.84ms, 62.2MB) |
테스트 27 〉 | 통과 (1263.93ms, 63.5MB) | 테스트 28 〉 | 통과 (1382.12ms, 65.4MB) |
테스트 29 〉 | 통과 (1319.43ms, 62.7MB) | 테스트 30 〉 | 통과 (1168.31ms, 55.8MB) |
테스트 31 〉 | 통과 (1314.92ms, 60.2MB) | 테스트 32 〉 | 통과 (1080.25ms, 57.4MB) |
목표 풀이 시간 : 1시간
실제 풀이 시간 : 57분
정답률 : 59.91%
이 문제는 2019년 카카오의 신입 개발자 채용을 위해 출제된 문제로 테스트에는 총 7문제가 출제되었고, 5시간 안에 순서와 상관없이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오픈채팅방'이 첫 번째로 배치된 가장 쉬운 문제다.
참고
연관 배열(맵)을 이용해서 쉽게 풀 수 있습니다.
record 를 순회 하면서
이제 events 를 순회하면서 채팅방에 출력할 메시지를 생성할 때, 연관 배열에 저장된 아이디별 최종 닉네임을 이용하면 됩니다.
우선, 저번보다 풀이 시간이 많이 단축되어서 기뻤다.
그러나 다른 사람의 풀이와 정답률을 보고나선..
어쩐지 정답률이 높은 쉬운 문제였고, 심지어 다른 사람의 풀이는 고차원적이라 느꼈다.
첫 단어가 Enter와 Change 인 경우의 코드를 비교해보면서 '왜 나는 저런 생각을 못했지?' 싶었다..
나의 풀이
if command == "Enter" || command == "Change" { name = String(content[2]) user.updateValue(name, forKey: uid) }
다른 사람의 풀이
if separated.count > 2 { a[separated[1]] = separated[2] }
물론, 나의 풀이가 더 직관적이고 알아보기 쉽고 실행시간도 더 빨랐다.
그러나 map을 사용함으로써 코드의 길이가 더 짧아지고 가독성이 높아졌다.
map을 두번이나 타야하는 다른 사람의 풀이는 실행 시간이 비교적 느렸는데, 그럼 현업에서는 어떤 것이 더 좋은 걸까?
❓
코드 길이는 짧지만 실행시간은 느림 VS 코드 길이는 길지만 실행시간은 빠름
이번 코딩테스트는 이런 궁금증과 여러 생각들을 남기게 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