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zy 키워드를 붙여서 프로퍼티를 선언하면 단어 뜻 그대로 다른 프로퍼티보다 지연된다. 즉, 해당 프로퍼티가 처음 사용되기 전까지는 메모리에 올라가지 않는다. > ⭐️⭐️⭐️ 중요! lazy는 반드시 var 키워드를 사용해서 변수로 선언해야 한다. 그 이유는 공식 문서에 아주 잘 나와있는데, 프로퍼티가 초기화되기 전에 항상 값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값이 없을 수도 있다. 그래서 lazy let이 아닌 lazy var로 선언해야 한다. (lazy let으로 선언하면 에러가 발생할 것이다.) Swift 공식 문서에 있는 예제를 가져와봤다. 여기서 importer 변수가 lazy로 선언되었다. 따라서 importer 변수가 사용되기 전까지는 DataImporter 인스턴스가 생성되지 않고 메모리에 올라가지 않는다. 즉, 지금은 DataManager의 data 변수만 사용되었으므로 DataImporter가 초기화되지 않은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