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러나 예외적인 상황에 대응하지 않으면 프로그램은 강제 종료될 것이다. 그런데 이런 예외적인 상황은 너무나 다양하기 때문에 아무런 조치 없이 프로그램이 강제 종료된다면 원인을 파악하여 대응하기 어렵다. 따라서 언제나 에러나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이에 대응하는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try {
// 실행할 코드(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코드)
} catch (err) {
// err 에는 try 코드 블록에서 발생한 Error 객체가 전달된다.
} finally {
// 에러 발생과 상관없이 반드시 한 번 실행된다.
}
Error 생성자 함수는 에러 객체를 생성한다. Error 생성자 함수에는 에러를 상세히 설명하는 에러 메세지를 인수로 전달할 수 있다.
const error = new Error('invalid')
에러 객체를 생성한다고 에러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즉, 에러 객체 생성과 에러 발생은 의미가 다르다.
=> 에러를 발생시키려면 try 코드 블록에서 throw 문으로 에러 객체를 던져야 한다!
throw 표현식;
try{
// 에러 객체를 던지면 catch 코드 블록이 실행되기 시작한다.
throw new Error('something wrong')
} catch (error) {
console.log(error)
}
const foo = () => {
throw Error('foo에서 발생한 에러');
}
const bar = () => {
foo();
};
const baz = () => {
bar();
};
try{
baz();
} catch(err){
console.error(err);
}
위의 예제 코드는 전역에서 에러가 캐치된다. 그 말인즉슨 throw된 에러를 캐치하지 않으면 호출자 방향으로 전파된다. 이때 throw된 에러를 캐치하여 적절히 대응하면 프로그램이 종료되지 않고 에러도 잘 잡을 수 있다.
참고로 setTimeout등의 비동기 함수는 호출자가 존재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