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테코 오리엔테이션에서 멘토님이 회고의 중요성을 말씀해주셨다. 프리코스를 합격의 관문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프로그래밍에 몰입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라고 여기고 지금까지 내가 고생하고 공부한 것을 회고와 학습정리에 남길 것이다.프리코스에서는 처음에 기능 목록 작성을 요구
다른 사람과 내 코드를 비교해보면서 그분의 부족했던 점은 무엇인지, 나의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 확인하여 학습하고자 코드 리뷰를 했다. 코드 리뷰를 했을 때 답변해주는 사람이 있는 반면 답변을 못한 사람도 있었다. 하지만 코드 리뷰는 상대방의 코드의 부족한 점을 짚어주는
코드 리뷰 당시에 for 문을 사용하는 것보다 가독성이 좋아지는 것을 목격하고 Stream에 대해 배워보고 싶었다. for문을 사용했다면 읽은 사람으로 하여금 읽다가 다시 위로 올라가서 읽으니까 읽기 쉽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stream은 생각하기 쉽다.list -
옛날에는 많은 개발자들이 고질적으로 겪는 문제가 있었다. 코드가 많아질 수록 복잡해져 수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어 갈아엎는 경우가 많았다. (유지 보수의 어려움)그러다 머리 좋은 개발자들이 이런 유지보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패턴을 발견했고 그것이 MVC 패턴이다.
JDK 1.5 버전 이후로 사용할 수 있는 Enum(Enumeration Type) 이다. 상수를 정수 취급하지 않고 객체 지향적으로 상수를 객체화해서 관리하기 위해 생겨났다. Java의 enum은 C++와 달리 독립된 특수 클래스로 구분한다. 객체이기 때문에 enu
살면서 로또를 해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이번 주차 개발을 하면서 보너스 번호의 존재가 왜 있는지 궁금했다. 보너스 번호의 존재 자체가 궁금한 이유는 도메인에서 차이가 발생하고 그 결과로 설계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보너스 번호가 6개의 로또
이번 주차 미션은 꽤나 어렵지만 그 중에서도 어려웠던게 여러 개의 이벤트를 다루는 것이었다. 기능에 대해 부가적으로 설명하면 주문을 했을 때 주문에 대해 어떤 이벤트가 적용이 가능한 지 전부 확인하고 할인을 적용해야한다.이벤트가 매번 고정적인 갯수로 제공된다고 가정한다
Data Type Object 로 알려져 있는 DTO 이다.
이번 주 목표는 저번 주차와 같이 "클래스 분리" 이다. 저번 주차를 회고할 때 클래스를 미리 정해두지 않고 개발할 때 기능을 분리해야겠다 싶으면 메서드를 분리하고, 나아가 클래스를 분리하면서 클래스에 적절한 책임을 부여해야겠다는 다짐을 했다. 그래서 이번 주차의 플로
당연한 얘기로 들릴 수 있지만 이후에 치명적인 실수로 돌아올 수 있으므로 메모 차 글로 남기려고 한다.3주차 로또 미션에서 사용자는 금액을 입력 받고 갯수에 맞는 로또를 생성한다. 그 로또의 숫자들은 1에서 45 범위에 들어야한다.로또는 6가지 로또 번호를 사용자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