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엔진이 이해하기 쉽도록 홈페이지의 구조와 페이지를 개발해 검색 결과를 상위에 노출시키는 것
네이버와 구글 홈페이지 중 어디에 더 중요하게 노출 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함.
구글에서 추천하는 디스크립션 작성법
웹사이트 내 모든 페이지에 동일한 디스크립션을 적용할 경우 효과적이지 않다.
각 페이지의 내용을 전체적으로 요약해 서술한 내용을 넣는 것이 좋음
해당 페이지의 제목(tilte)과 중복되는 정보는 제외하는 것이 좋음
페이지가 많은 홈페이지의 경우 최대한 잘 읽히고 스팸으로 구분되지 않게 구성해야 함
모든 페이지를 작성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홈페이지 내 각 페이지에 우선순위를 두어 주요 페이지들만 작성하는 것이 좋다.
img태그에 alt속성을 넣지 않으면 검색엔진은 인식을 하지 못한다.
alt속성을 붙이면 코딩의 유용성 측면에서도 좋다.
검색엔진이 alt 속성 안의 텍스트를 통해 인덱싱 작업을 하기 때문에 seo에 좋다.
키워드가 본문에 기술되어 있지 않은 홈페이지는 검색 결과에 랭크되기 어렵다.
구글의 경우, 앵커 텍스트 링크로 해당 페이지에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체크한다.
사용자가 꼭 홈페이지의 메인 페이지만 방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google에서 키워드나 내용으로 검색하면 검색 결과에는 원하는 정보가 있는 컨텐츠 페이지가 나타나고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유입이 된다.
홈페이지 내 어떤 페이지로 방문 유입이 될지 모르기 때문에 모든 페이지에는 메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를 설치하여 전체 사이트의 동선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웹사이트에 대한 검색엔진 로봇들의 접근 조절 제어,
로봇들에게 웹사이트의 사이트맵이 어디 있는지 알려주는 역할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가 검색엔진에 노출되지 않기를 원하면 이를 설정하여 제어할 수 있음.
웹사이트 내에 똑같은 컨텐츠를 가진 웹페이지가 여러개 있고, 만약 웹 크롤러가 이 모든 페이지를 읽어간다면 이는 웹사이트 검색엔진최적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특히 구글은 중복컨텐츠에 대해 패널티를 부여하기 때문에 웹사이트내에 중복 컨텐츠가 있을 경우 robots.txt를 이용하여 제어해주는 것이 좋다.
sitemap.xml은 웹사이트 내 모든 페이지의 목록을 나열한 파일로 책의 목차와 같은 역할을 한다.
사이트맵을 제출하면 일반적인 크롤링 과저엥서 쉽게 발견되지 않는 웹페이지도 크롤링되고 색인 될 수 있게 해준다.
robots.txt와 sitemap.xml이 검색엔진최적화 점수를 높이는데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검색엔진최적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