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명령어 기초

최민경·2022년 10월 22일
0

개발잡담

목록 보기
1/7

git init

해당 폴더를 git으로 상태관리할 수 있는 폴더로 만든다.

세팅 시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git 폴더를 삭제하고 다시 git init 해준다.

git add .

파일 상태 관리에 추가될 파일 및 폴더를 선택한다.

  • . 을 입력하면 모든 폴더 내의 모든 파일 및 폴더를 선택한다.
git add . 
  • 파일명 및 폴더를 입력하면 해당하는 것들만 선택한다.
git add text.txt

git commit

add한 파일 및 폴더를 내 로컬 저장소에 버전 등록한다.

  • -m 옵션을 달지 않으면 메시지 없이 올라간다.
git commit
  • -m 옵션을 달면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git commit -m "
내가 변경한 내역 입력"

git push origin master

commit한 내역을 원격 저장소(github) 등에 버전 등록 한다.

  • -f 옵션을 사용하면 강제로 버전 등록이 가능하다.
git push -f origin master

git remote add origin 깃헙주소

내 로컬 저장소 git 정보를 원격 저장소와 연결한다.


처음 깃+깃헙 연동 시 키키

  1. 깃헙에 리파지토리 새로 생성하기
  2. 원하는 폴더에 git init
  3. git add .
  4. git commit -m "first"
  5. git remote add origin 깃헙주소
  6. git push origin master

쓰던 자리에서 깃헙 사용법

  1. git pull (origin master)
  2. 작업들은 하고 저장한다.
  3. git add . (또는 원하는 작업 추가)
  4. git commit -m "작업 내용"
  5. git push origin master

안 쓰던 자리에서 깃헙 사용법

  1. git clone (내 메인주소 말고 파일이 있는 깃헙주소)
  2. 작업들은 하고 저장한다.
  3. git add . (또는 원하는 작업 추가)
  4. git commit -m "작업 내용"
  5. git push origin master

쓰던 안 쓰던 자리에서 첫 번째는 무조건 pull 먼저하고 push를 한다. 안그럼 머징 에러가 난다.

머징 해결법

0개의 댓글